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쇠퇴지수에 따른 전통시장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서울시 내 90개 전통시장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type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markets based on the decline Index - Focused on 90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ype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markets based on the decline Index - Focused on 90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Authors
강준모
Issue Date
5-Nov-2016
Publisher
한국도시설계학회
Citation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1, no.1, pp.333 - 339
Journal Title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ume
1
Number
1
Start Page
333
End Page
33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7178
Abstract
과거 도시 경제의 중추 역할을 했었던 전통시장은 시간의 지남에 따라 유통구조의 변화, 대형 마트와의 경쟁으로 점차 쇠퇴하였고, 전통시장을 삶의 터전으로 생계를 꾸려온 영세상인이나 지역 농민들도 점점 더 어려운 처지에 놓이고 있다.1) 또한 정부의 정책도 시장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시장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2)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의 전통시장 유형분류는 현황자료를 기준으로 시장을 분석하고 이를 유형화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현행 법령3)상의 시장 유형 구분 또한 그 지표를 설정하는 기준이 시장의 현 상황에만 국한되어 있다. 서울시 내 349개의 전통시장 중 약77%가 개설된 지 30년 이상인 시장4)들인 만큼 전통시장의 유형분류는 시장의 현황과 더불어 그 시장자료의 시계열적 분석도 고려되어야 한다. 지방도시나 노후 시가지의 경우 해당 지역의 현황을 기준으로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를 시계열로 분석하여 쇠퇴지수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적인 유형화를 진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5). 전통시장의 유형화 또한 이와 같이 자료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시장의 유형을 보다 세밀하게 분류하여 향후 시장지역 재개발이나 현대화 사업을 검토할 때에 보다 적합한 개발을 선정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당 시장의 과거 자료를 활용하여 쇠퇴지수를 설정한 뒤 이를 현황자료와 연계하여 전통시장의 유형을 분류하고 향후 시장 재개발 정책 시행 시에 보다 정확한 지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chitecture > Urban Engineering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