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20대 리드 유저의 인식 조사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20s’ Lead Users on Internet of Things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20s’ Lead Users on Internet of Things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uthors
정재희
Issue Date
30-Sep-201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2, no.2, pp.613 - 625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2
Number
2
Start Page
613
End Page
62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7377
ISSN
1598-6497
Abstract
사물 인터넷이 미래 시장을 견인할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술적 연구는 기술적요소의 역할과 구현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을 뿐, 사물 인터넷의 구체적인 사용 시나리오와 이것이 제공하는 실질적인 가치에 대한 고객 중심의 연구는 상당히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사물 인터넷의수용과 확산의 주체가 될 20대 리드 유저를 대상으로사물 인터넷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리드 유저는 1)트렌드 민감도, 2)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의 수용, 3)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풍부한 지식, 4)여론 주도적 역할을 충족시키는 40명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발화자의언어를 중심성과 상관성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발화자 내면의 사고와 인지구조를 이해하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소비자 관점에서 요구되는 미래 사물 인터넷 사용 시나리오를 예측하기 위해서 연구의 범위를 소비자의 관심 적용 영역(사용적측면), 긍정적 기대와 부정적 위험 요소(가치적 측면), 기술 이해 수준과 시너지 창출 영역(기술적 측면)으로선정하였다. 해당 소비자는 사물 인터넷을 기술 중심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고, 사물 인터넷이 제공하는 명확한 가치와 구체적인 사용 시나리오에 대한 인지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소비자는 사물 인터넷을 비용 절감과 정서적 만족을 위한 도구로서 인식하였고, 공공적 활용(Public Use)보다는 개인적 활용(Personal Use)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사물 인터넷과관련한 위험 요소로 하드웨어의 보안 이슈를 제기하였고, 신기술을 통해 발생 가능한 인간 삶의 변화에대해서도 인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의 핵심 기술로 주목 받고 있는 사물 인터넷에 대한 고객 관점의 인사이트를 도출함과 동시에,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융합 제품에 대한 디자인 리서치에 실제로 도입하여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에 있어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서비스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Jae Hee photo

Chung, Jae Hee
산업미술대학원 (Major in Service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