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기담』에서 구술과 기술, 전통과 근대의 상호작용The Interaction of Orality and Literacy, Tradition and Modern in Chosungidam[朝鮮奇談]

Other Titles
The Interaction of Orality and Literacy, Tradition and Modern in Chosungidam[朝鮮奇談]
Authors
유정월
Issue Date
31-May-2016
Publisher
한국고전연구학회
Citation
韓國古典硏究, v.-, no.33, pp.209 - 240
Journal Title
韓國古典硏究
Volume
-
Number
33
Start Page
209
End Page
24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7773
ISSN
1226-3850
Abstract
본 연구 대상은 그 원제목이 『반만년간죠션긔담』(이하 『조선기담』으로 표기)으로, 한글 활자본으로 되어 있다. 1922년에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발행하였으며, 발행자는 안동수(安東洙)다. 『조선기담』은 총 104편의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으며 그 갈래 구분은 명확하지 않다. 본고는 일단 신화와 민담, 야담과 설화가 절묘하게 혼합되어 있는 점을 『조선기담』의 텍스트적 특징이라고 본다. 본고의 논의는 『조선기담』의 혼종성이 어떤 과정에서 생성된 것인지, 이런 이질적 양식들의 관계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한다. 『조선기담』에는 전대의 야담과 근대의 야담이, 고대와 근대와 근세의 역사가 망라되어 있다. 이야기와 풍속이, 신화와 역사가, 정치사와 세태사가 뒤섞여 있다. 『조선기담』에는 내용의 다양성 뿐 아니라 서술 방식의 다양성도 존재한다. 전사와 변개, 모방과 창조, 번역과 수집(채록) 등 서로 다른 서술 태도와 방식들이 『조선기담』의 또 다른 혼종성을 구성해 낸다. 본고는 또한 이러한 다양성을 구술과 기술, 근대와 전통을 중심으로 정리하면서 『조선기담』이 전통성, 역사성, 기술성에 우위를 두고 있음을 읽어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yu, Jeong Wol photo

Ryu, Jeong Wol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