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경험 요인 분석을 통한 패키지 디자인 개발 방법 연구A Study on Package Design Methodology through the Experience Factor Analysis

Other Titles
A Study on Package Design Methodology through the Experience Factor Analysis
Authors
최혜정나건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Experience Design(경험 디자인); Experience Factors(경험요인); Package Design Approach(패키지 디자인 접근법)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2, no.4, pp.627 - 639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2
Number
4
Start Page
627
End Page
63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309
ISSN
1598-6497
Abstract
최근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경험 소비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는 가운데, 패키지는 제품 보호 및 정보전달의 도구에서 고유의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 자체’ 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번 H. 슈미트(Bernd H. Schmitt)가 제안한 전략적 경험 요인인 감각(Sense), 감성,(Feel) 인지(Think), 행동(Act), 관계(Relate)의 다섯 가지 항목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에서 경험 유발의 요인을 분석하여, 새로운 패키지 개발 프로세스와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해 경험의 정의와 경험디자인이 부상한 배경, 경험적 차원에서 패키지 디자인의개념을 정리하고, 다음으로 번 H. 슈미트의 다섯 가지 경험 모듈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에서 경험 유발 요인 유형을 기존 디자인 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패키지 디자인 개발 사례에 대입하여 실증하였다. 다섯 가지 경험 요인은 패키지 안에서 다음과 같이작용한다. 패키지는 감각을 자극하여 만족을 제공하고, 즐거움, 따뜻함, 안정감 등의 감정을 경험하게 한다. 또한 합리적 소비라 설득하며, 제품을 운반하거나 개봉하는 과정에 차별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관계적 측면에서 이상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표현하여 사회 안에서 소비자 자신의 위치와 관계성을 재확인하게 한다. 다섯 가지 경험 요인들은 개별적이기 보다는 하나의혼합물로서 작용한다. 디자인 개발 시 우선적으로 ‘총체적 경험 콘셉트(Holistic Experience Concept)‘를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등의 ‘세부적인 경험 요소(Experience Factors)‘를 개발하도록 한다. 이러한 디자인 접근은 창의적인 패키지를 통해 고객을 위한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유도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 Design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h, Ken photo

Nah, Ken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Major in Design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