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2030 소비자 확장을 위한 아이트래커 활용 막걸리 용기 및 라벨 디자인 요소 연구 - 국내 대중 주류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Makgeolli Container and Label Design Elements Utilized Eye Tracker for Promotion of 2030 Generation Consumers -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Major Alcoholic Beverage Brand in Korea -

Other Titles
A Study of Makgeolli Container and Label Design Elements Utilized Eye Tracker for Promotion of 2030 Generation Consumers -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Major Alcoholic Beverage Brand in Korea -
Authors
유진아김후성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Makgeolli(막걸리) 2030 Generation(2030세대); Vessel & Label Design(용기 및 라벨 디자인); Eye Tracking(아이트래킹)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2, no.4, pp.471 - 482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2
Number
4
Start Page
471
End Page
48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319
ISSN
1598-6497
Abstract
현재 민족주류인 막걸리 산업은 다른 수입 주류들에비하여 시장규모가 과거와 비교하여 급격히 줄어들고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막걸리의 새로운 2030세대 소비자확장을 위하여, 구매 시 소비자의 인식 정보에 대한시각적 이해도를 향상시켜 구매 촉진을 유도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소비자의 막걸리 구매동기 및시각적 경험의 우위 요소 분석을 통하여 용기 및 라벨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막걸리의 역사와 특징에대한 문헌 자료들을 조사 하였다. 둘째, 목적하는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막걸리 구매 동기 등과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2030세대 소비자 대다수는 높은탁도를 회피 하고 낮은 탁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것으로 파악 되었으나, 탁도 분류에 대한 시각적 정보가 충분치 않음으로 막걸리 자체의 구입을 주저하는구매 행동을 발견 하였다. 셋째, 그에 따라 용기 및 라벨디자인에 대한 국내 주요 대중 브랜드의 사례를 분석 하여 디자인적으로 시각 정보를 향상 시킬 수 있는범위를 설정하여. 넷째, 이를 근거로 안구 내 동공의움직임을 추적하는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하여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구매 시 소비자의 시각반응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 막걸리 구매 시 2030세대에게부정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는 주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탁도에 대한 정보가 없음으로, 구입한 제품이 높은탁도를 가진 제품일 수 도 있다는 우려감에 막걸리 자체의 구입을 주저하는 소비자를 위하여 탁도 분류에대한 시각적 표기 제시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있었다. 국내 대중 주요 브랜드 중 소비자의 세분화된 기호를 위하여 크게 도수, 맛, 재료 원산지를 분류하여 용기 및 라벨디자인에 시각적 차별화를 둔 3가지 사례를분석하였다. 브랜드의 통일성을 위해 용기 디자인의형태 및 색상을 일치시키고, 같은 제품 군 내 분류 기준에 맞춰 용기 디자인의 뚜껑 색상과 라벨디자인의일러스트 형태 및 색상에 변화를 주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시각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한 2030세대소비자들은 직관적인 시각적 인지 우위 요소로, 차별화된 용기디자인의 뚜껑 색상과 라벨디자인의 일러스트 형태변화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비하여 일정한 색상과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요소는 빠른 정보처리를 통해 짧은 시간 내 시선이 지나가는 것을 발견하였다. 시각적 정보 이해도가 높은요소로는 용기디자인보다 라벨디자인의 일러스트와 타이포그래피로 측정 되었다. 일러스트에 분류 기준 정보가 담겨있는 경우 타이포그래피보다 빠른 시각적 이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일러스트에 분류 정보가 없는 경우 타이포그래피에 시선 응시를 추가로 진행하여 보다 많은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앞으로 막걸리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있어 소비자확장을 위하여 다양한 맛, 취향, 탁도, 용기의 형태 등을 고려하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 하지만, 본 연구가 침체 되어가는 막걸리 판매의 성장을 위한 하나의 방법적 제시를 보여주는 기초 자료로 활용 되었으면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 Smart Design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