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장학금 수혜가 지방대와 수도권대학생의 학업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경로 비교: 프로빗 다집단 경로분석Comparison of the effect paths of the scholarship reception on the intention to academic persistence between metropolitan and local university students: A probit multiple-group path analysis

Other Titles
Comparison of the effect paths of the scholarship reception on the intention to academic persistence between metropolitan and local university students: A probit multiple-group path analysis
Authors
신혜숙김준엽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Keywords
Scholarship effect; academic persistence; local university; multiple group analysis; probit path analysis; 장학금 효과; 학업지속의사; 지방대; 다집단분석; 프로빗 경로분석
Citation
교육재정경제연구, v.25, no.3, pp.53 - 74
Journal Title
교육재정경제연구
Volume
25
Number
3
Start Page
53
End Page
7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355
ISSN
1226-278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장학금 수혜가 대학학점(GPA)과 대학적응을 매개로 학업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러한 경로가 대학 소재지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2005의 7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프로빗 다집단 경로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장학금 수혜 현황을 살펴보면, 지방대의 경우 여학생(+), 월수입(-), 수능성적(+)에 따라 장학금 수혜 여부가 다르며, 수도권대의 경우 주로 수능성적이 장학금을 결정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학금 수혜는 지방대와 수도권대에서 공통적으로 GPA와 대학적응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지속의사에 대해서는 지방대에서만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학금과 학업지속의사의 관계에서 대학적응의 매개효과는 지방대와 수도권대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학금과 학업지속의사의 관계에서 GPA의 매개효과는 지방대에서만 유의미한 부적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지방대의 경우 장학금이 학업성취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GPA가 높아질수록 학업지속의사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대에서 GPA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지속을 높이기 위한 정책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un yeop photo

Kim, Jun yeop
Education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