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이덴티티를 위한 시각적 질감 표현의 은유적 활용과 사례분석 - 픽셀기반 이미지를 중심으로 -Study on Metaphorical Usage and Case Studies by Using Visual Texture on Identity - focused on pixel - based images -

Other Titles
Study on Metaphorical Usage and Case Studies by Using Visual Texture on Identity - focused on pixel - based images -
Authors
김경주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visual texture; pixel-based image; identity; 시각 텍스쳐; 픽셀기반 이미지; 아이덴티티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7, no.5, pp.83 - 96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7
Number
5
Start Page
83
End Page
9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361
ISSN
1598-8635
Abstract
인간이 대상을 지각할 때 복수의 감각기관을 통해 대상을 판단하게 되며, 이중 시각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촉각의 경우 질감을 직접적으로 전달해 커뮤니케이션을 극대화 할 수 있으나, 일상에서 촉각을 통한 정보전달 비율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과 촉각의 공감각적 지각인 시각적 질감 중 픽셀기반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아이덴티티를 드러낸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연구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및 사례를 통해 질감의 기대효과 및 시각적 질감을 구현하기 위한 3가지 표현 방법에 대해 우선 고찰한다. 이 중 픽셀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시각적 질감 및 그 기법을 중심으로 실제 사례를 수집하고, 직유적인 1차적 활용이 아닌 은유적인 2차 활용에 주목한다. 수집된 사례를 1)의도적으로 발생시킨 시각적 질감, 2)기존의 질감을 재구성한 시각적 질감, 3)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시각적 질감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질감과 아이덴티티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컨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사례는 고정요소와 가변요소로 나누어서 픽셀이미지가 가질 수 있는 표현적 특징에 따른 활용방법을 분석하고, 원관념(tenor)과 보조관념(vehicle)을 통해 어떤 은유적 활용이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사례를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픽셀기반의 시각적 질감표현은 현실과의 연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바라보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수집이 가능하며, 추상적인 형태로 바탕을 제공함으로서 이후 추가적인 시각정보를 통해 명확한 정보전달의 장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School of Design and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