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억압에서 자유로 흘러온 서사: 해체와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한국 여성/주의 미술A Constant Stream from Oppression to Freedom: Korean Feminist Art in the Age of Deconstruction and Post-Ideology

Other Titles
A Constant Stream from Oppression to Freedom: Korean Feminist Art in the Age of Deconstruction and Post-Ideology
Authors
이필
Issue Date
2016
Publisher
현대미술사학회
Keywords
Korean feminist art; Nanda; Kim Hyun Jung; Chang Jia; Jangpa; Bul Lee; Yun Suk Nam; 한국 여성주의 미술; 난다; 김현정; 장지아; 장파; 이불; 윤석남
Citation
현대미술사연구, no.39, pp.105 - 132
Journal Title
현대미술사연구
Number
39
Start Page
105
End Page
1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539
DOI
10.17057/kahoma.2016..39.004
ISSN
1598-7728
Abstract
본고는 1980년대 중반 이후 남성중심주의 사회의 부당함을 고발하고 그 억압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했던 한국 여성/주의 미술이 여성의 주체적 사고와 표현의 자유를 획득한 점진적인 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자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동시대 여성미술가들의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2016년 현재 한국의 여성/주의 미술이 더 이상 페미니즘을 논하지 않아도 되는 페미니즘의 이상적 목표에 진입하는 길목에 들어섰다고 본다. 과거 차별받고 억압받고 소외받는 여성을 재현해 온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중심 주제는 사회적으로 강요된 헌신적이고 강인한 어머니, 수동적인 아내상 등이었다. 30여 년이 지난 지금, 한국 여성/주의 미술은 유교적 여성상의 해체, 탈-이데올로기적 신체의 재현, 선택적 다양성의 양상으로 변화했다. 본고는 김현정, 난다, 장지아, 장파, 윤석남의 최근작에 나타난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해체와 확장, 다양화, 글로벌화를 분석한다. 김현정, 난다, 장지아의 작품에서는 성적차별 의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는‘ 여성의 미술’을, 장파와 윤석남의 최근작에서는 모든 고통 받는 생명체를 대변하는 범-휴머니즘적 동향을 포착(捕捉)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현재의 시점을 억압에서 자유로 넘어가는‘ 여성미술’의 서막으로 제시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 Paint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Phil photo

Lee, Phil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Art Plann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