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건강검진센터의 공용공간 색채현황분석 연구A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of Health Examination Centers Applying Colors

Other Titles
A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of Health Examination Centers Applying Colors
Authors
권오길이재규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Keywords
Health examination center; visual perception; color psychology; common space; human-oriented; 건강검진센터; 검진자동선; 색채심리; 색채치료; 공용공간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1, no.1, pp.33 - 42
Journal Titl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11
Number
1
Start Page
33
End Page
4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8776
DOI
10.35216/kisd.2016.11.1.33
ISSN
1976-4405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우리나라는 현재 국가적인 정책지원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배경을 기반으로 전문적인 건강검진센터가 전문화, 세분화가 되었으며 쾌적하고 안정적인 검진자 중심의 공간구성이 요구된다. 건강검진센터의 공간계획에서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인 색채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능성을 중요시하는 건강검진센터에서 색채의 활용은 미적 감성표현의 가치를 부여하며 사용자에게 긍정적 반응을 유도하고 간접적 치료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검진센터의 색채 사례 분석을 통하여 건강검진센터의 공간 구성의 색채 이미지를 도출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는 의료공간의 색채 구성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기대 효과를 갖는다. (연구방법) 선행 연구를 통하여 건강검진센터의 공간 구성과 공간의 효율적인 배치, 공간의 특성, 공용공간을 연구하고 참고문헌을 통하여 색채의 개념과 색채심리, 색채치료의 이론적 고찰을 한다. 사례분석의 범위는 서울시에 위치한 독립된 형태의 건강검진센터로 건강검진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5곳의 공용공간으로 한정하였다. 사례는 사진자료와 현장측색을 병행하였고 색채분석 도구로는 먼셀 표색기호와 먼셀 분포도, I.R.I 연구소의 컬러시스템인 형용사 이미지스케일을 적용하여 건강검진센터의 색채이미지를 도출하고 물리적, 심리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건강검진센터의 천정부분은 주조색으로 ‘우아한’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의 off white의 도장마감, 보조색으로는 목재 질감의 YR, Y계열 컬러를 사용하여 ‘내츄럴한’,‘점잖은’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나타내었다. 벽은 공간별로 마감재와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이 차별화 되어 나타났으며 주조색은 천정과 동일하고 보조색은 ‘온화한’,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의 타일과 대리석, ‘점잖은’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의 목재, ‘맑은’, ‘모던한’, ‘내츄럴한’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의 칼라유리를 사용하여 변화를 주었다. 바닥은 ‘온화한’‘내츄럴한’,‘점잖은’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의 중채도 타일과 대리석, 마루재를 사용하였고 안정감을 주는 저채도의 카페트를 사용하였다. (결론) 건강검진센터는 제한된 공간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검진자의 검진순서에 맞게 합리적인 동선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검진순서에 따라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내부 복도가 많다. 복도는‘우아한’,‘온화한’,‘내츄럴한’,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의 마감재와 간접 조명을 사용하여 채광이 되지 않아 부족한 빛을 채우고 청결함과 편안함을 주었다. 건강검진센터에서 선호하는 전체적인 색채이미지는 ‘온화한’, ‘내츄럴한’, ‘우아한’, 점잖은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이다. 건강검진센터의 색채 연구로 물리적인 환경에서 검진자의 심리적 측면을 감안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는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건강검진센터의 진료공간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공간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ae Kyu photo

Lee, Jae Kyu
산업미술대학원 (Major in Spatial De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