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Single Lap 전단시험을 적용한 자가치료제의 접착성능 평가Evaluation of Bond Performance of Self-Healing Agents Using Single Lap Shear Test

Other Titles
Evaluation of Bond Performance of Self-Healing Agents Using Single Lap Shear Test
Authors
윤성호박희원허광수
Issue Date
2004
Publisher
한국복합재료학회
Keywords
Single lap 전단시험(single lap shear test); 자가치료제(self-healing agent); 촉매(catalyst); 경화온도(curing temperature); 접착성능(bond performance); 접착전단강도(bond shear strength); Single lap 전단시험(single lap shear test); 자가치료제(self-healing agent); 촉매(catalyst); 경화온도(curing temperature); 접착성능(bond performance); 접착전단강도(bond shear strength)
Citation
Composites Research, v.17, no.4, pp 40 - 46
Pages
7
Journal Title
Composites Research
Volume
17
Number
4
Start Page
40
End Page
4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kumoh/handle/2020.sw.kumoh/22068
ISSN
2288-2103
2288-211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single lap 전단시험을 통해 자가치료제와 촉매의 혼합비율 및 경화온도가 자가치료용 폴리머 복합재에 적용되는 자가치료제의 접착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가치료제로는 DCPD (dicyclopentadiene), ENB (5-ethylidene-2-norbornene), DCPD와 ENB가 혼합된 경우를 고려하였으며 촉매로는 bis(triclohexylphosphine) benzyllidine rethenium (IV) dichloride Grubbs' catalyst를 사용하였다. 이때 DCPD에 대한 촉매의 혼합비율은 1.0wt%와 0.5wt%, ENB에 대한 촉매의 혼합비율은 0.1wt%, DCPD와 ENB의 혼합액에 대한 촉매의 혼합비율은 0.5wt%를 적용하였으며 경화온도는 25℃, 60℃, 80℃를 고려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DCPD의 경우 안정화된 접착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촉매와 긴 경화시간이 요구되었다. ENB의 경우는 DCPD의 경우에 비해 촉매의 혼합비율이 낮아도 빠른 경화반응을 얻을 수 있었지만 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접착전단강도는 DCPD와는 달리 최대값에 도달하였다가 점차 감소하면서 안정화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DCPD와 ENB의 혼합액 경우도 ENB와 유사한 경화거동을 나타내며 DCPD에 대한 ENB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경화반응이 빨라지는 양상을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경화온도가 높을수록 접착전단강도는 증가되며 안정화된 평탄부에 도달하는 경화시간은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