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융·복합 시대의 자기효능감이 목표설정이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조절자원의 고갈과 비고갈 집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 - Efficacy to Goal Setting in the age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Self - regulatory depletion and non - depletion group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 - Efficacy to Goal Setting in the age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Self - regulatory depletion and non - depletion group
Authors
송찬섭이선규김연규강은구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eywords
Goal setting theory; Self-efficacy; Self-regulatory resource; Self-depletion; Self control; Convergence Age.; 목표설정이론; 자기효능감; 자아조절자원; 자아고갈; 자기통제; 융·복합 시대
Cita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v.14, no.3, pp 151 - 164
Pages
14
Journal 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Volume
14
Number
3
Start Page
151
End Page
16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kumoh/handle/2020.sw.kumoh/23446
DOI
10.14400/JDC.2016.14.3.151
ISSN
2713-6434
2713-6442
Abstract
본 연구는 개인이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해 가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개인이 자아를 통제하는 힘인 자아조절자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효능감과 목표설정이론 간의 관계를 자아조절자원을 조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조절자원의 고갈 및 비고갈 집단을 조작하여, 자기효능감과 목표설정에 따른 성과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성과에 대한 목표설정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아조절자원이 강화되는 것을 일부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의 증대는 자아조절자원의 강화를 통해 꾸준히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는 토대가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에서는 종업원의 장기적인 고성과를 원하는 경우에 참고할만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