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혁신지향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몽골기업을 대상으로 한 통제소재의 조절효과The Effect of Adhocracy Culture on Job Satisfa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Locus of Control Focusing on Mongolia Enterprises

Other Titles
The Effect of Adhocracy Culture on Job Satisfa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Locus of Control Focusing on Mongolia Enterprises
Authors
윤병현이광희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eywords
조직문화; 혁신지향문화; 직무만족; 통제소재; 내재론자; 외재론자; Organizational Culture; Adhocracy culture; Job Satisfaction; Locus of Control; Internals; Externals
Cita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v.16, no.9, pp 99 - 106
Pages
8
Journal 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Volume
16
Number
9
Start Page
99
End Page
10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kumoh/handle/2020.sw.kumoh/23595
DOI
10.14400/JDC.2018.16.9.099
ISSN
2713-6434
2713-6442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통제소재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조직문화는 하위문화 중 혁신지향문화를 살펴보았으며, 조절효과를 위한 통제소재는 내재론자와 외재론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SAS 9.4와 PLS 3.0을 통해 기술통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몽골기업의 여러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283부의 설문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혁신지향문화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 혁신지향문화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통제소재 중에서도 내재론자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조직문화, 통제소재)을 이해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을 관리하기 위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증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