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혁본 <鱉兎傳>의 인물 형상화와 작가에 관한 고찰A Study of the Characterization Method and Author of Lee Hyuk"s Tokkijeon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haracterization Method and Author of Lee Hyuk"s Tokkijeon
Authors
이진오
Issue Date
Dec-2020
Publisher
우리문학회
Keywords
토끼전; 토끼전 한문본; 재지사족; 이혁; 이최선; 신재효; 노사학파(蘆沙學派); Tokkijeon; Tokkijeon written in Chinese letters; Jaejisajok(在地士族); Lee Hyuk; Lee Choi-Seon; Shin Jae-Hyo; Nosa school(蘆沙學派)
Citation
우리문학연구, no.69, pp 163 - 200
Pages
38
Journal Title
우리문학연구
Number
69
Start Page
163
End Page
20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kumoh/handle/2020.sw.kumoh/28099
DOI
10.20864/skl.2021.1.69.163
ISSN
1229-7429
Abstract
본 연구는 ≪토끼전≫의 한문본 중 이혁본 <鱉兎傳>을 대상으로 작품세계와 개작의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혁본 <鱉兎傳>의 원본은 전남대학교 이혁 교수가 소장했던 필사본이었는데, 김기동 교수가 교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인본(油印本)으로 편집한 것이라고 한다. 현재는 원본은 확인할 수 없고, 유인본의 복사본만이 전해지고 있다. 이혁본 <鱉兎傳>은 기존의 ≪토끼전≫을 토대로 개작한 작품으로, 일반적인 ≪토끼전≫의 서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용왕은 군주로서의 자질과 권위를 상실한 통치자로, 별주부는 본분과 예법을 중시하는 사대부로, 토끼는 처사지도의 삶을 추구하는 사대부로 그려낸다는 특징을 보인다. 즉, 이 작품은 조선시대 사대부 중심의 세계관을 반영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혁본 <鱉兎傳>은 ≪토끼전≫의 경판본과 세책본 계열의 화소를 차용하여 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두 계열과의 관계로 미루어볼 때, 이 작품의 개작 시기는 1880년대 이후로 추정된다. 이 작품의 작가는 등장인물의 의인화에 있어서 주로 사대부가의 인물로 묘사하는 데에 주력하였고, 안빈낙도를 내적인 주제로 삼았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혁본 <鱉兎傳>의 작가는 이혁의 증조부인 이최선으로 비정할 수 있었는데, 첫째, 이최선이 신재효의 스승이었다는 점, 둘째, 그의 집안이 담양 지역의 재지사족이라는 점, 셋째, 과거시험에 낙방하여 고향에 은둔하였다는 이력이 있다는 점, 넷째, 경판본이나 세책본을 입수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다섯째, 작품의 개작 추정 시기와 말년의 은둔 시기가 겹친다는 점을 근거로 삼을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