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70년대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경계인으로서의 중산층 의식The Middle Class’ Consciousness as a Marginal Person in Park Wan-Seo’s Short Novels of 1970s.

Other Titles
The Middle Class’ Consciousness as a Marginal Person in Park Wan-Seo’s Short Novels of 1970s.
Authors
이은영
Issue Date
Jun-2024
Publisher
한국비평문학회
Keywords
중산층 의식; 경계인; 이질적인 타자성; 욕망과 경멸; 혐오와 매혹; 변화 가능성; 사회통합; 사회변혁; marginal person; Middle class’ consciousness; heterogeneous otherness; desire and contempt; hate and fascination; change possibility; social integration; social revolution
Citation
비평문학, no.92, pp 103 - 131
Pages
29
Journal Title
비평문학
Number
92
Start Page
103
End Page
13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kumoh/handle/2020.sw.kumoh/28778
ISSN
1225-0430
2733-6875
Abstract
본 연구는 1970년대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중산층 의식의 이중성에 주목하고 특히 경계인으로서의 중산층 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먼저 이 시기 박완서의 단편소설 속 중산층은 상류층에 진입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는 동시에 상류층의 탐욕과 허위에 대해 경멸하는 이질적인 타자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중산층의 이중적 의식은 중산층의 일상으로의 복귀 또는 일상으로부터의 탈출이라는 두 가지 태도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중산층은 하류층의 가난에 대해 혐오하는 동시에 그들이 가진 성실성, 자립성 등 도덕적인 부분에 대해 매혹이라는 이질적인 타자성을 드러내며, 후자는 서민층과의 공감 및 연대 의식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박완서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경계인으로서의 중산층 의식은 중산층의 불안의식 그 자체를 드러내기보다는 이질적인 타자성을 통해서 국가 주도의 물질주의적 근대화와 중산층 가정의 판타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박완서의 단편소설 속 중산층은 경제적 안정뿐만 아니라 생활의 질적인 부분까지 추구하는 양식의 소유자이며 나아가 사회통합과 사회변혁을 위한 비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