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복희・여와(伏羲女媧) 도상(圖像)의 문화적 의미The cultural meaning in Fuxi and Nuwa’s picture and image

Other Titles
The cultural meaning in Fuxi and Nuwa’s picture and image
Authors
전성운
Issue Date
2014
Publisher
동아시아고대학회
Keywords
복희; 여와; 도상; 닌기쉬지다; 오시리스; 이시스; 세라피스; 나가; 문화 요소; 문명권; Fuxi; Nuwa; Picture and Image; Ningishizida; Osiris; Isis; Serapis; Naga; culture factor; culture block
Citation
동아시아고대학, no.35, pp.299 - 323
Journal Title
동아시아고대학
Number
35
Start Page
299
End Page
32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2742
ISSN
1229-8298
Abstract
복희・여와 신화는 중국이란 특정한 문명권에서만 기원, 발전한 것으로 여겼다. 특히 중국학자들은 이것이 중국 문명의 기원과 상징을 담고 있는 위대한 문화 요소로 간주했다. 그러나 도상학적 측면에서 본 복희・여와의 형상은 오히려 중국 개별 문명의 소산이 아니다. 복희・여와의 신격 및 형상은 수메르의 닌기쉬지다와 방불한 특징을 보인다. 닌기쉬지다와 복희・여와는 신격(神格), 형상(形象), 신능(神能)과 같은 근본적인 차원에서 공통적 자질을 가졌다. 닌기쉬지다의 형상은 이집트의 오시리스와 이시스 신화 및 도상에서도 확인된다. 저승의 신이자 부활, 소생의 신인 오시리스와 치료와 번성, 화육(化育)의 신능을 지닌 이시스의 교미형 도상, 그리고 그 가운데 자리한 호루스의 형상은 이집트 및 지중해 전역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존재이다. 또한 그레코로만 양식의 오시리스와 이시스 도상은 중국의 복희・여와의 도상과 부분적인 차이만 있을 뿐이다. 그리고 이런 도상은 인도나 투르판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복희・여와의 도상은 역사의 전 시기, 세계 도처에 편만하게 존재했던 문화 요소인 것이다. 이것은 중국이란 개별 문명권 내부의 독자적 문화 요소로 간주되었던 것이 인접하는 개별 문명권으로부터 유래한 외래적인 것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개별 문명을 구성하는 문화 요소의 일부는 관념적으로 형성된 허구적 실체이며, 동시에 인접하는 개별 문명권의 문화 요소를 창조적으로 수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 Sung woon photo

Chun, Sung woon
SCH Media Labs (Department of Korean Culture Conten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