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식적 견관절 자기공명영상에 추가적인 사각시상면 영상 이용 시극상건 손상 검출 진단능 차이에 대한 고찰The Difference in Diagnostic Performance for Detection of Supraspinatus Tendon Tears by Adding Angled Oblique Sagittal Plane Image to the Routine Shoulder MRI

Other Titles
The Difference in Diagnostic Performance for Detection of Supraspinatus Tendon Tears by Adding Angled Oblique Sagittal Plane Image to the Routine Shoulder MRI
Authors
김지희김현주차장규최득린홍성숙장윤우황정화
Issue Date
2014
Publisher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Keywords
Shoulder joint; Rotator cuff; Tendon injuri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itation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18, no.2, pp.157 - 166
Journal Title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ume
18
Number
2
Start Page
157
End Page
16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2862
DOI
10.13104/jksmrm.2014.18.2.157
ISSN
2384-1095
Abstract
목적 : 고식적 견관절 MRI 검사에 사각시상면 영상 추가 시 극상건 파열의 진단적 정확도가 증가하는지 관절경 수술 소견을대비표준으로 삼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견관절 MRI 검사를 하고 관절경 수술을 받은 121명의 환자를대상으로 하였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독립적으로 관상사면과 시상사면 영상을 이용하여 극상건 파열을 평가하고 4주후 사각시상면 영상을 추가하여 다시 판독하였다. 관절경 수술을 대비표준으로 이용하였다. 건 파열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McNemar test로 비교하였고 관찰자 간, 기술 간 일치도는 카파계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 사각시상면 추가 시 고식적 견관절 MRI만 이용하였을 때 보다 극상건 전층 파열 진단의 민감도가 증가하였고, 부분 파열 진단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모두 증가하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관찰자간 일치도는 사각시상면을추가하거나 하지 않았을 때 모두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영상 소견과 관절경 수술 소견은 사각시상면 추가 시와 추가하지 않았을 때 모두 중등도의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 극상건의 전층 및 부분 파열 평가를 위해 고식적 MRI에 사각시상면 영상을 추가 시 기존의 영상면 만으로 평가하였을때와 진단적 정확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Rad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un joo photo

Kim, Hyun joo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Radi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