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통업에서 무형자산의 크기에 따른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Accordance with Size of the Firms’ Intangible Assets

Other Titles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Accordance with Size of the Firms’ Intangible Assets
Authors
유성용육윤복
Issue Date
2013
Publisher
한국유통경영학회
Keywords
Intangible Assets; Net Book Value; Accounting Earnings; Value Relevance; Distribution Industry; 무형자산; 순장부가치; 회계이익; 가치관련성; 유통업
Citation
유통경영학회지, v.16, no.4, pp.5 - 15
Journal Title
유통경영학회지
Volume
16
Number
4
Start Page
5
End Page
1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4214
DOI
10.17961/jdmr.16.4.201309.5
ISSN
2384-0137
Abstract
유통업에 종사하는 기업은 기술적 역량보다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역량이 기업성공을 위한 핵심적 요소로 생각되며, 디지털기술이 발전할수록 제조업에 종사하는 기업과 유통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기술적 역량에 대한 투자로 무형자산을 창출하는 지출의 중요성에 대한 차이가 심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환경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종을 대상으로 보유한 무형자산의 크기에 따라 회계정보의 가치 관련성에 차이를 유발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통업에 종사하는 기업이 무형자산을 많이 보유할수록 순장부가치가 기업가치에 반영되는 정도가 낮아진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무형자산도 회계적 측면에서 순장부가치를 구성하는 요소이므로 투자자들이 무형자산도 다른 자산과 화폐적 가치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유통업에 종사하는 기업이 무형자산을 많이 보유할수록 회계이익이 기업가치에 반영되는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통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무형자산 보유로 인한 미래 현금흐름 창출에 대한 불확실성이 다른 업종의 기업에 비해 높은 것으로 투자자들이 인식하여 회계이익을 기업가치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할인하여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볼 때, 유통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연구개발을 위한 지출보다는 본질적인 영업활동인 생산자와 소비자를 매개하는 역할에 집중하는 것이 기업가치를 증진하는데 보다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Global Business >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yu, Sung Yong photo

Ryu, Sung Yong
College of Global Business (Department of Account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