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회복지 패러다임(paradigm)으로서 비판적 실재론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An Explorative Study on Theoretical Potential of Critical Realism as Social Welfare Paradigm

Other Titles
An Explorative Study on Theoretical Potential of Critical Realism as Social Welfare Paradigm
Authors
우아영김기덕
Issue Date
2013
Publisher
한국국정관리학회
Keywords
Agency; Social Structure; Critical Realism; Reality; Stratified Reality; Intransitive/Transitive dimension; Double Hermeneutics; Transformation Model of Agency and Structure; Positivism; Constructionism; 행위주체; 사회구조; 비판적 실재론; 실재; 층화된 실재; 과학의 자동적; 타동적 대상; 이중의 해석; 개념화; 변형적 사회활동 모델. 실증주의; 구성주의
Citation
현대사회와 행정, v.44, no.2, pp 465 - 497
Pages
33
Journal Title
현대사회와 행정
Volume
44
Number
2
Start Page
465
End Page
49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4364
DOI
10.16999/kasws.2013.44.2.465
ISSN
1598-3854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를 포함한 사회과학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이분화에 대해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비판적 실재론의 가능성을 탐색해본다. 사회복지이론은 ‘행위주체’와 ‘사회구조’의 이분화된 존재론적 입장을 고수해왔고 그것을 통합하고자 하는 생태체계적 관점이 지배적이었으며, 이와 같은 이론적 입장은 사회복지실천영역에도 영향을 미쳐왔다. 한편, ‘실증주의’와 ‘구성주의’로 이분화된 인식론적 관점 또한 현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입장으로서 사회복지이론연구와 실천방법에 영향을 미쳐왔다. 이 같은 이분화된 존재론적 인식론적 관점은 행위주체와 사회구조 간 관계의 질적인 속성을 드러내고 사회 내 심층적 실재에서의 기제 작동, 그리고 인식주체와 무관한 실재에 대한 사유에 있어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해 비판적 실재론은 층화된 실재, 과학의 대상으로 자동적 차원과 타동적 차원,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이중의 해석과 개념화의 조건들, 그리고 구조의 이중성과 실천의 이중성, 변형적 사회활동모델 등의 논의를 통해 대안적 사회복지패러다임으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Gi duk photo

Kim, Gi duk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