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빙도자전(氷道者傳)>의 구성과 형상화 방식The featuring methods and meaning orientation of Bingdoja-Jeon

Other Titles
The featuring methods and meaning orientation of Bingdoja-Jeon
Authors
전성운
Issue Date
2012
Publisher
우리문학회
Keywords
Bingdoja-Jeon; Haesim; Zen Buddhism; Ganhwa Zen; plot; meaning orientation; < 빙도자전> ; 혜심; 간화선; 선불교; 구성 방식; 의미 지향; Bingdoja-Jeon; Haesim; Zen Buddhism; Ganhwa Zen; plot; meaning orientation
Citation
우리문학연구, no.37, pp.357 - 383
Journal Title
우리문학연구
Number
37
Start Page
357
End Page
38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5620
ISSN
1229-7429
Abstract
본고는 <빙도자전>에 천착(穿鑿)하여 그 구성 방식과 의미 지향, 그리고 형상화 방식을 살폈다. <빙도자전>은 표면적으로 가전의 구성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의미 지향의 측면에서 <빙도자전>은 얼음의 특징을 중심으로 의인화를 한 부분과 작가의 의식이 지배적으로 드러나는 이대별(二大別)된다. <빙도자전>은 의인화 기법, 고사의 활용, 일대기 구성의 측면에서도 기존 가전과는 다소 다른 특징이 드러난다. 의인화 기법을 차용했으면서도 등장인물이 특별한 사건이나 서사 구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지 않으며, 빙도자의 출생, 개당(開堂), 종통(宗統) 등을 설명하기 위해 파편적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고사 활용은 선사의 어록과 공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如何是和尙家風”, “祖師西來意”, “寒暑到來, “老僧合與麽”, ”朗月當空” 등이다. <빙도자전>의 경우 일대기 구성을 취했으면서도 선사의 어록(語錄)이나 상당(上堂) 법문을 중심에 둠으로써 형식과 내용의 조화를 꾀하였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지닌 <빙도자전>은 당시의 불교계를 간화선(看話禪) 중심으로 재편하고자 하는 혜심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 Sung woon photo

Chun, Sung woon
SCH Media Labs (Department of Korean Culture Conten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