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구 근대불교학의 출현과 ‘부디즘(Buddhism)’의 창안The Creation of ‘Buddhism’in the West : Its Meaning and Effect

Other Titles
The Creation of ‘Buddhism’in the West : Its Meaning and Effect
Authors
송현주
Issue Date
2012
Publisher
종교문화비평학회
Keywords
‘Buddhism’; Western Buddhist Studies; orientalist tendency; Original Buddhism; modern Buddhist reformation; ‘부디즘’; ‘불교’; 서구 불교학; 오리엔탈리즘; 근본불교; 이상적 불교; 불교개혁
Citation
종교문화비평, v.22, no.22, pp.120 - 164
Journal Title
종교문화비평
Volume
22
Number
22
Start Page
120
End Page
16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5635
ISSN
1739-0540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불교의 근대적 재구성을 가능하게 했던 여러 요인 중의 하나로서근대 서구유럽을 중심으로 형성된 새로운 불교연구의 경향과 그 결과물로서의 ‘불교(Buddhism)’의 창안, 그리고 그것이 아시아의 전통적 불교사회에 미친 의미와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불교에 대한 영어표현으로서의 ‘Buddhism’은 19세기 초반 유럽에 처음 나타나 점차 일반화되었다.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불교’ 이외에도 불교를 표현하는 다양한 용어들(佛法, 佛道 등)이 있었으나 점차 ‘불교’라는 말로 번역어가 통일되었다. 서구의 불교학은 아시아의 전통적 불교연구와는 다른 관점과 방법으로 불교에 접근하여 서구적 시각에 의한 ‘이상적 불교’의 원형을 창조했다. 그것은 경전 중심적이며, 역사적 붓다가 강조되었고, 오리엔탈리즘적 성격을 띤 불교였다. 그것에 의하면 붓다 생존 시의 ‘근본불교(Original Buddhism)’ 또는 ‘초기불교(Early Buddhism)’가 그 이후에 전개된 불교, 특히 대승불교보다 가치있는 불교로 평가되었다. 순수하게 문헌을 통해 구축된 이 ‘이상적 불교’는 당시 아시아에서 믿고 실천하던 불교의 현실을 낙후하고 타락한 형태로 비판하는 준거가 되었다. 근대 아시아의 불교개혁은 이 서구 불교학의 창안물인 ‘불교’ 개념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오늘날까지도 서구적 의미의 불교 개념과전통적인 아시아의 불교개념은 모호한 의미의 공존을 하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yangseol Nanum > Division of Liberal Arts for Humanit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Hyun Ju photo

Song, Hyun Ju
College of Hyangseol Nanum (Division of Liberal Arts for Humanit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