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을 중심으로Evaluating Evidence-Based Interventions in Subject Area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ther Titles
Evaluating Evidence-Based Interventions in Subject Area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서유진나경은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특수아동학회
Keywords
지적장애; 교과교육; 증거기반중재; 질분석; intellectual disabilities; subject instruction; evidence-based intervention; quality analysis
Citation
특수아동교육연구, v.14, no.1, pp 435 - 466
Pages
32
Journal Title
특수아동교육연구
Volume
14
Number
1
Start Page
435
End Page
46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5877
DOI
10.21075/kacsn.2012.14.1.435
ISSN
1229-8301
2733-8398
Abstract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요 교과영역 중재연구에서 제공된 중재의 특성과 효과크기를 살펴보고, Gersten 외(2005)와 Horner 외(2005)의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각 중재연구의 질을 평가하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영역별 증거기반 중재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총 27편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 중재연구의 특성과 효과크기 분석결과, 국어교과는 읽기와 유창성 영역에서, 수학교과는 연산과 문장제 문제풀이 영역에서 인지과정 전략에 관련된 중재를 제공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1편을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중재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단일대상연구의 경우, 기초선 기간에서 자료점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낮은 효과크기를 보인 연구가 많았다. 둘째, 질적지표 충족도 평가결과,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적장애 학생의 주요 교과영역별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증거기반 중재를 선정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기술, 실험효과와 결과 제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는 많은 편으로 나타나, 앞으로 중재제공자와 측정도구 정보제시, 중재 충실도 측정, 중재의 사회적 타당도와 일반화 측정의 질적지표를 고려한 중재연구가 좀 더 활발히 수행된다면, 지적장애 학생에게 일반교육과정에 기초한 교과교육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증거기반 중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