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속버스 운전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상지질혈증의 관계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yslipidemia in Express Bus Drivers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yslipidemia in Express Bus Drivers
Authors
이남수김주자이진우이경재
Issue Date
2010
Publisher
BioMed Central
Keywords
Job stress; Dyslipidemia; Bus driver
Citation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22, no.3, pp 221 - 229
Pages
9
Journal Title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ume
22
Number
3
Start Page
221
End Page
22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8286
ISSN
1225-3618
2052-4374
Abstract
목적: 고속버스 운전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이상지질혈증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고속버스 운전직 근로자 301명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을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고,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SSSF)를 이용하여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하였고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를 NCEP-ATP III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직무 스트레스가 이상지질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위하여 혈중 지질농도의 이상 여부를 종속변수로, 영역 별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직무요구 영역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근로자는 총콜레스테롤(OR 3.25, 95% CI 1.18~8.95) 및 LDL-콜레스테롤(OR 4.14, 95% CI 1.18~14.44)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았으며, 직무자율성 결여 영역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근로자는 HDL-콜레스테롤(OR 1.92, 95% CI 1.04~3.56)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았다. 결론: 고속버스 운전직 근로자들에서 직무요구 및 직무 자율성 결여 영역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이상지질혈증의 대응비가 높았다. 따라서 그들의 직무요구 및 직무자율성 결여 영역의 스트레스 수준을 조절함으로서 이상지질혈증 관리 및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yung Jae photo

Lee, Kyung Jae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