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재생 중인 흰쥐 간의 형태학적 변화 및 PCNA 발현에 미치는 rrhGM-CSF의 영향Effects of rrhGM-CSF on Morphology and Expression of PCNA in Regenerating Rat Liver

Other Titles
Effects of rrhGM-CSF on Morphology and Expression of PCNA in Regenerating Rat Liver
Authors
정진주김지현윤광호이영준한규범김완종허시현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현미경학회
Keywords
Liver regeneration; Partial hepatectomy; PCNA; rrhGM-CSF
Citation
한국현미경학회지, v.40, no.2, pp 73 - 80
Pages
8
Journal Title
한국현미경학회지
Volume
40
Number
2
Start Page
73
End Page
8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8360
ISSN
2287-5123
2287-4445
Abstract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는 과립구 및 대식세포뿐만 아니라 상피세포의 증식과 분화를자극하는 당단백질이며, 최근 생산된 벼세포 유래 재조합 GMCSF (rrhGM-CSF)는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고 당사슬이 매우풍부하여 물질의 안정성 혹은 효과의 지속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실험에서는 간 재생 능력이 우수한 흰쥐를 실험모델로 하여 간의 78%를 제거한 후, 간 재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rrhGM-CSF를 처리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형태변화의 차이와 더불어 단백질 발현 분석법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PCNA 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rrhGMCSF는간 재생 속도를 뚜렷이 증가시키지는 못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는 재생 초기에 간 세포판의 붕괴와 재구성 시기를 다소 앞당기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증식 중인 세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핵단백질인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의 간 조직에서의 분포와 발현 정도를 보면 부분간절제 후 12시간과 24시간에서는 PCNA 단백질이 두 그룹에서조금씩 발현되다가 간 절제 3일과 5일이 경과한 실험군에서 단백질이 높게 발현되었다. 간 재생이 진행될수록 간 조직 전체에서 고르게 PCNA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대조군 보다 실험군에서 반응성이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부분 간절제 후 간 재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rrhGM-CSF가 세포분열을 촉진시키는 인자들 중의 하나로 작용하여 간 재생에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 Department of B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