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판 청소년 분노유발상황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Korean Anger Provoking Situation Scale for Youth

Other Titles
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Korean Anger Provoking Situation Scale for Youth
Authors
유동환김민이지숙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Keywords
청소년; 분노유발상황; 분노유발상황 척도; 혼합연구방법; 초점집단면접; Youth; Anger Provoking Situation; Anger Provoking Situation Scale; Mixed Method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21, no.4, pp 520 - 532
Pages
13
Journal Titl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ume
21
Number
4
Start Page
520
End Page
5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19229
DOI
10.5392/JKCA.2021.21.04.520
ISSN
1598-4877
2508-6723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청소년 분노유발상황 척도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분노유발상황 척도 내용분석, 청소년 대상 분노유발척도인 NAS-PI 요인 및 타당성 분석, 청소년 전문가 대상 FGI의 3가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NAS-PI의 결과에서는 기존 5가지 범주 중 ‘좌절’을 제외한 ‘무례한 대우’, ‘불공평’, ‘타인의 거슬리는 특성’, ‘짜증’ 등 4가지 범주가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FGI 분석 결과는 ‘거절’, ‘신체적·언어적 폭력’, ‘무시’, ‘좌절’, ‘통제 및 제지’, ‘반추’, ‘대인관계’ 등 7가지 범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국내외 분노유발상황 내용분석과 통합한 결과 최종적으로 ‘불공평’, ‘부당함’, ‘비난’, ‘통제 및 제지’, ‘무시’, ‘좌절’, ‘대인관계’ 등 7가지 범주로 재구성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외 청소년 분노유발상황척도 내용 분석 및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합적으로 진행하여 국내 청소년대상 분노유발상황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Min photo

Kim, Min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Counsel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