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Authors
김경은장은정이성주
Issue Date
Sep-2021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teach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validation; university education; 교수역량; 진단도구; 타당화; 대학교육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1, no.18, pp 271 - 285
Pages
15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1
Number
18
Start Page
271
End Page
28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0967
DOI
10.22251/jlcci.2021.21.18.271
ISSN
1598-2106
2671-776X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교수역량의 요소를 추출하고,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그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교수역량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78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한 2차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38개 문항의 최종 시안을 확정하였다. 교수역량 진단도구 최종 시안에 대한 타당화를 위해S대학 교수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문항양호도,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문항반응분포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10문항을 삭제하여 28문항의 최종 도구가 개발되었으며, 문항양호도, 구인타당도, 신뢰도 검증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역량 진단도구는 ‘기본역량’과 ‘수업역량’의 2개 영역 아래 ‘교수자로서의신념과 태도’, ‘학생에 대한 태도’, ‘학교에 대한 이해’, ‘수업준비’, ‘수업실행’, ‘수업개선’의 6개 진단항목,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수역량 진단도구는 교수자의 교수역량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자의 교수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맞춤형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서의 기능과 함께 대학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Rack Hyun photo

Kim, Rack Hyu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Innov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