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내국인과 이민자 집단 간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및 매개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A Comparative Study on Life Satisfaction, the Influencing Factors and Mediating Factors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 Groups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Life Satisfaction, the Influencing Factors and Mediating Factors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 Groups
Authors
임동진박관태
Issue Date
Jun-2022
Publisher
한국자치행정학회
Keywords
내국인; 이민자; 생활만족도; 사회적 관계; 매개효과; Koreans; Immigrants; Life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hips; Mediating Effects
Citation
한국자치행정학보, v.36, no.2, pp 159 - 185
Pages
27
Journal Title
한국자치행정학보
Volume
36
Number
2
Start Page
159
End Page
18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1169
DOI
10.18398/kjlgas.2022.36.2.159
ISSN
1738-7779
2713-5438
Abstract
우리 사회에서 이민자의 규모가 증가하고 이들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생활한다는 측면에서 내국인과 이민자에 대한 생활만족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내국인과 이민자 집단 간의 생활만족도 수준,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 및 매개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포시에 거주하는 내국인(288명)과 이민자(77명) 365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국인과 이민자의 생활만족도 요인 중 건강 수준(3.48/5점), 사회경제적 수준(3.40점), 주거환경 수준(3.47점), 여가활동 수준(3.44점), 가족간 신뢰 수준(4.21점), 사회적·인적네트워크 수준(2.46점)은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다만, 지역안전 수준 만은 이민자(3.72점)가 내국인(3.49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국인과 이민자의 생활만족도 수준은 이민자(3.66/5점)와 내국인(3.60점) 두 집단의 생활만족도가 보통 이상으로 비슷하고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내국인과 이민자 집단 모두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건강 수준(b=0.422), 지역안전 수준(b=0.147), 여가활동 수준(b=0.070), 연령(b=0.008), 학력(b=0.174)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이 안전하다고 인식할수록, 여가활동이 많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내국인과 이민자 여부에 따른 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 건강 수준, 여가활동 수준 변수가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나타났다. 즉, 건강 수준이 좋은 이민자일수록, 여가활동 수준이 많은 내국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관계(가족간 관계, 사회적·인적네트워크)의 매개효과의 분석 결과, 내국인의 경우, 건강수준, 여가활동 수준이 가족간 신뢰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높였고, 또한 건강수준, 지역안전 수준이 사회적·인적 네트워크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민자의 경우, 가족간 신뢰 만이 사회적·인적네트워크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민자들의 사회적·인적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im, Dong Jin photo

Lim, Dong Jin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