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양상 분석: 아동 및 부모 요인을 중심으로An Analysis of Changes in Children’s Happiness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Factors of Children and Parents

Other Titles
An Analysis of Changes in Children’s Happiness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Factors of Children and Parents
Authors
한지원곽은복
Issue Date
Jul-2022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초등 전환; 아동의 행복감; 한국아동패널 조사(2014년; 2015년);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appiness; 7th and 8th year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 no.13, pp 541 - 554
Pages
14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2
Number
13
Start Page
541
End Page
55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1469
DOI
10.22251/jlcci.2022.22.13.541
ISSN
1598-2106
2671-776X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변화 유형에 따른 입학 전 시기의 아동 및 부모 요인을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7차(7세)와 8차(8세) 자료(N=1,469)를 사용하였고, 군집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초등 전환기를 거치며 아동의 행복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아동의 행복감 변화 유형은 높음 유지형, 상승형, 극단적 감소형, 낮음 유지형, 감소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유형에 따라 학교준비도, 사회적 기술, 부모 양육행동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달랐다. 구체적으로 높음 유지형, 상승형이 극단적 감소형에 비해 학교준비도가 높았으며, 높음 유지형이 극단적 감소형에 비해 사회적 기술을 더 잘 사용하였다. 또한 높음 유지형, 상승형, 감소형의 부모가 극단적감소형보다 더 온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높음 유지형이 극단적 감소형보다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으로의 행복한 전환을 위한 지원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