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젊은 성인의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과 공간인지의 차이Sex Differences in Episodic Memory and Spatial Cognition in Healthy Younger Adults

Other Titles
Sex Differences in Episodic Memory and Spatial Cognition in Healthy Younger Adults
Authors
김선겸박진영박진혁
Issue Date
2021
Publisher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Keywords
Episodic memory; Hippocampal function; Spatial cognition; Younger adults; 공간인지; 일화기억; 젊은 성인; 해마 기능
Citation
재활치료과학, v.10, no.1, pp.105 - 114
Journal Title
재활치료과학
Volume
10
Number
1
Start Page
105
End Page
11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172
DOI
10.22683/tsnr.2021.10.1.105
ISSN
2635-9340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시각자극을 사용하여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과 공간인지의 차이를 확인하고 비교하기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에서는 시각적인 자극을 사용한 일화기억 평가와 3차원의 가상현실 기반의 공간인지검사를사용하여 대학생 48명(남성 24명, 여성 24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과 공간인지의 차이를알아보았다. 모든 참가자는 사진을 사용한 시각적 일화기억 평가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일화기억의하위 요소인 사물, 장소, 시간 기억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가상현실에서 길 찾기 과제를10회 진행하여 가상공간에서의 거리 오차(cm) 값의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 일화기억은 하위 요소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p>.05), 공간인지의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수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성별에 따른 시각적 일화기억의 차이는 언어적 일화기억의 차이와는 다르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마 기능이 일화기억과 공간인지를 담당한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성별에따른 일화기억과 공간인지의 차이에 대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두 기능이 서로 독립적이라는것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al Sciences >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in Hyuck photo

Park, Jin Hyuck
College of Medical Sciences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