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재기이』의 간행(刊行) 주체와 그 지향The main group behind the publication of Gijaegiyi and their intention

Other Titles
The main group behind the publication of Gijaegiyi and their intention
Authors
전성운
Issue Date
2021
Publisher
우리문학회
Keywords
Gijaegiyi(企齋記異); Gwanghan Shin; Government Institution for publication; Gyoseoguan(校書館); cognition; intention; Neo-Confucianism(性理學); Sarim scholars; 기재기이(企齋記異); 신광한(申光漢); 교서관(校書館); 간행; 인식; 지향; 성리학(性理學); 사림(士林)
Citation
우리문학연구, no.69, pp.201 - 232
Journal Title
우리문학연구
Number
69
Start Page
201
End Page
2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189
DOI
10.20864/skl.2021.1.69.201
ISSN
1229-7429
Abstract
본고는 기재기이 의 교서관(校書館) 간행과 그 의미를 고찰했다. 이를 위해 교서관의 서적 간행 양상과 조건을 천문서나 의서(醫書)같은 잡술서, <삼국지연의>나 전등신화 와 같은 소설, 성리서(性理書)와 사서(史書) 등의 경우를 통해 살폈다. 이를 보면 교서관의 서적 간행은 특정한 목적과 필요성이 존재해야 가능했다. 간행의 목적과 필요성이 불분명하거나 그 의의가 결여되었다면, 공공재(公共財)와 인력(人力)의 낭비, 민풍(民風)의 저해라는 비난을 받았다. 그런데 기재기이 에 대해서는 이같은 비난이 없다. 이것은 기재기이 간행이 특정한 목적과 필요성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기재기이 간행은 1553년 7월 18일을 전후한 때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귀정(歸政)에 따른 새로운 정치에 대한 사림(士林)의 기대가 증폭되었던 때다. 이런 때에 홍문관(弘文館)을 비롯한 삼관(三館)의 젊은 관료에 의해 기재기이 의 간행이 추진되었다. 이것은 기재기이 가 성리학적 관점에서의 교훈적 가치가 지대함을 뜻한다. 신호가 발문에서 밝힌 바, 세상의 모범(模範)이자 세상의 경계(警戒)를 담아 민이(民彛)를 붙들어 세웠다는 말과 통한다. 홍문관 정자(正字) 겸 예문관 검열(檢閱)이었던 박계현의 <제기재기이권후(題企齋記異卷後)>에서도 이것이 드러난다. 기재기이 는 후학을 위해 일우(一隅)를 들어주는 작품이다. 정유의 상소나 사신(史臣)의 비판에서 말한 바와 같이 새로운 정치를 기대하는 사림의 지향과도 궤를 같이 한다. 기재기이 간행 주체는 기재기이 의 성리학적 가치에 주목하여 공적 서적의 위상을 부여하고자 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 Sung woon photo

Chun, Sung woon
SCH Media Labs (Department of Korean Culture Conten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