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The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utonomy Motivation i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 Scoping Review

Other Titles
The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utonomy Motivation i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 Scoping Review
Authors
이정원김재화
Issue Date
Mar-2024
Publisher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Keywords
Self-Determination; Physical Disability; Disability; Physical Activity; Scoping review; 자기결정성; 지체장애; 장애; 신체활동; 스코핑 리뷰
Citation
운동재활·복지, v.5, no.1, pp 45 - 54
Pages
10
Journal Title
운동재활·복지
Volume
5
Number
1
Start Page
45
End Page
5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26151
ISSN
2733-6913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의 신체활동에 있어 자기결정성 이론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종합적 분석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rksey, O'Malley(2005)가 제시한 스코핑 리뷰(Scoping review)를 활용하였으며, Levac 등(2010)이 제안한 권장 사항을 통합하여 본 연구의 방법론적 구조를 설정하였다. 2002년 1월부터 2023년 8월 사이에 발표된 12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에 관한 범주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와 신체활동 관련 요인 간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기본심리욕구와 신체활동 참여, 사회성 간의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 장애에 관한 범주에서 기본심리욕구가 신체활동을 통해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운동지속과 끈기(GRIT), 제약극복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운동선수에 관한 범주에서 자율성지지 코칭방식이 자기결정성 동기 및 기본심리욕구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의 신체활동에 있어 자기결정성 이론이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기결정성이 실제 특수체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 Department of Sports Sci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ae hwa photo

Kim, Jae hwa
College of Natural Sciences (Department of Sports Scie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