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과 세대 간 공평성Financial Sustainability and Intergenerational Fairnes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Other Titles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Intergenerational Fairnes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Authors
김용하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eywords
Long-Term Care Insurance; Insurance Finance; Aging; Insurance Actuary; 노인장기요양보험; 보험재정; 고령화; 재정추계
Citation
보건사회연구, v.40, no.4, pp 149 - 177
Pages
29
Journal Title
보건사회연구
Volume
40
Number
4
Start Page
149
End Page
17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3322
DOI
10.15709/hswr.2020.40.4.149
ISSN
1226-072X
2671-4531
Abstract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정지출이 급속히 증가됨에 따라 당기재정수지는 2016년 적자로 전환된 이후 2019년 기준으로 6,601억원의 적자가 발생하였고, 누적수지는 2015년말 최대 2조 3,524억원에서 2019년에는 7,097억원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동 보험의 소득대비 보험료율도 2008년 0.21%에서 2020년 0.68%로 3배 이상 인상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정지출의 증가를 요인별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장기적인 재정전망을 함으로써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점검하고, 이에 따른 세대별 비용부담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동 제도에 의한 세대간 재분배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정지출의 증가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 인정률의 상향 조정, 보험수가의 인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노인장기요양보험료율은 2024년에 1%를 넘어서고, 2036년에는 2%를, 2042년에는 3%를, 2048년에 4%를, 2055년에는 5%를 넘어서 2065년에는 6.4% 수준으로 높아져야 그 당시의 재정지출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미래세대로 갈수록 비용부담이 급속히 증가됨을 의미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미래 세대의 비용부담을 적정수준으로 완화하기 위해서는 재정지출의 증가요인을 가능한 억제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적립금을 가능한 많이 쌓아갈 수 있도록 재정방식을 개편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적립금 누적과 공공기금화를 위한 관련 법령의 개정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Global Business > Department of IT Financial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ng ha photo

Kim, Yong ha
College of Global Business (Department of IT Financial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