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영상 기록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A Study of the Performativit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Other Titles
A Study of the Performativit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Authors
김이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영상학회
Keywords
영상 기록; 영상 기록의 두 지향성; 수행성; 보전적 특성; 소유적 특성;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two orientations; performativity; conservative characteristic; possessive characteristic
Citation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18, no.5, pp.27 - 40
Journal Title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olume
18
Number
5
Start Page
27
End Page
4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3371
DOI
10.14728/KCP.2020.18.05.027
ISSN
2092-8157
Abstract
2000년대를 전후하여 기록적 영상을 사용하는 영화와 미술작품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장르 간의 융합과 변형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는 영상 기록의 새로운 지형을 영상 기록이 가진 두 지향성과 둘 사이를 조율하는 수행성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영상 기록의 두 지향성은 보존과 소유의 욕망에서 비롯되어, 보존은 지표적 실사영상, 관찰자적 태도를 통해 성취되며 기록물의 가치와 직결되었고, 소유는 기록 주체가 반영되는 특질이자 주류의 영상 기록에서 잉여적 특질로 폄하되어 왔다. 두 상충하는 욕망 사이에서 실행되는 영상 기록은 수행적이다. 진위를 판별할 객관적 참조 대상 없이, 오직 수행됨을 통해 발효되고 창출됨을 의미하는 수행성은 기록의 행위적 측면을 조명하며 영상 기록이 가진 소유적 특징의 가치를 증명할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다큐멘터리 제작을 수행적 행위라고 주장한 브루지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그가 간과한 영상 기록의 일회성과 사건성을 통해 영상 기록의 수행성 개념을 보완하고자 한다. 피셔-리히테에 의하면, 일회성과 사건성은 퍼포먼스 공연에서 수행성이 발현되는 전제조건이다. 본 연구는 영상 기록과 퍼포먼스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수행성을 최초로 정의한 오스틴의 언어철학적 개념을 재고하여 영상 기록의 수행성을 재규명한다. 또한, 발화자라는 주체와 관습이라는 세계를 수행문이 적절하게 발효되는 조건으로 본 오스틴의 연구로부터 착안하여, 영상 기록의 보존과 소유의 특징을 새로운 정반합의 관계로 재배치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Film and Anim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Lee jin photo

Kim, Lee jin
SCH Media Labs (Deparment of Digital Anim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