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 -영화 <증인>을 중심으로-A Study on Formal Expression of Film for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film <Innosent Witness>-

Other Titles
A Study on Formal Expression of Film for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film <Innosent Witness>-
Authors
채희주민경원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Keywords
the Actantial model of Greimas; mise-en-scene; Brecht’s theory of Distancing; Communication; Cinema therapy
Citation
영상기술연구, v.1, no.32, pp.19 - 42
Journal Title
영상기술연구
Volume
1
Number
32
Start Page
19
End Page
4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3550
DOI
10.34269/mitak.2020.1.32.002
ISSN
1738-5180
Abstract
영화는 형식의 예술이라고 한다. 영화는 형식적인 방법을 이용해서 이야기를 극적(Dramtic)으로 전달한다. 감독은 영화의 형식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관객들과 소통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증인>에서 형식적인 기술들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형식적인 연구 모델을 적용한다. 첫째, 기호학자인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델을 통해서 주체가 어떻게 세상과 소통하고 관계 맺는지 그 형식구조를 파악한다. 둘째, 미장센을 통해 형식적 측면이 어떻게 영화작품에 활용되는지 살펴본다. 셋째, 브레히트의 ‘거리 두기’이론을 통해 어떻게 소통하는지 살펴본다. ‘거리 두기’는 영화치료에서는 ‘의식적 자각’의 개념으로 활용하고 있다. 거리 두기의 형식적 표현이 영화치료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증인>이 소통이라는 주제로 영화의 형식적 기호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Film and Anim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in, Kyung won photo

Min, Kyung won
SCH Media Labs (Department of Performing and Visual Ar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