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승마활동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에 따른 라이프스킬과 공감능력 차이Difference in Life Skills and Empathy Ability among Horse-Riding Participants Depending on Serious Leisure

Other Titles
Difference in Life Skills and Empathy Ability among Horse-Riding Participants Depending on Serious Leisure
Authors
김미량홍서연이안나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스포츠학회
Keywords
Horse-riding; Serious Leisure; Life Skill; Empathy Ability; 승마활동; 진지한 여가; 라이프스킬; 공감능력
Citation
한국스포츠학회, v.17, no.3, pp.73 - 84
Journal Title
한국스포츠학회
Volume
17
Number
3
Start Page
73
End Page
8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4998
ISSN
1738-3250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승마활동 참여자들의 진지한 여가 수준을 분석하고 진지한 여가 상태에 따른 라이프스킬과 공감능력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D광역시 소재 승마장에서 승마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42개의 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위계적군집분석, k-평균군집분석 및 1-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승마활동 참여자는 진지한 여가 상태에 따라 핵심헌신자, 적절한 헌신자, 참여자의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진지한 여가의 하위요인에서 핵심 헌신자 그룹과 참여자그룹은 개인적 노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적절한 헌신자 그룹은 독특한 기풍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한편, 핵심 헌신자 그룹은 여가경력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적절한 헌신자에서는 인내요인에서 참여자 그룹은 여가경력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승마활동 참여자는 진지한 여가 상태에 따라 라이프스킬의 대인적 관계, 리더적 기술, 책임적 기술 그리고 의사소통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승마활동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 상태에 따른 공감능력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성인 승마참여들의 라이프 스킬과 공감능력향상을 위해 보다 고차원 상태의 진지한 여가참여로 유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 Department of Leisure and Recre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Mi Lyang photo

Kim, Mi Lyang
College of Natural Sciences (Department of Leisure and Recre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