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전적 직무경험(Challenging Job Experience)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통합모형 개발The Systematic Review and Developing Integrated Model on the Challenging Job Experience

Other Titles
The Systematic Review and Developing Integrated Model on the Challenging Job Experience
Authors
이재은조영아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인력개발학회
Keywords
도전적 직무경험; 직무경험; 체계적 문헌고찰; 통합모형; challenging job experience; job experience; systematic review; integrated model
Citation
HRD연구, v.21, no.3, pp.133 - 163
Journal Title
HRD연구
Volume
21
Number
3
Start Page
133
End Page
16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5051
DOI
10.18211/kjhrdq.2019.21.3.006
ISSN
1229-5086
Abstract
일터에서의 경험은 개인의 학습과 성장,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천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도전적 직무경험(Challenging Job Experience)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도전적 직무경험 연구의 연구대상, 연구방법, 도전적 직무경험에 대한 관점, 측정, 관련변인을 종합하여 도전적 직무경험의 통합모형을 제안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20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전적 직무경험은 주로 관리자를 대상으로 양적 접근을 통한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어왔다. 둘째, 도전적 직무경험은 ‘직무의 도전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는 관점’과 ‘도전적 직무경험의 과정을 강조한 관점’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도전적 직무경험의 측정은 대부분 McCauley 등(1994, 1999)이 개발한 DCP와 JCP의 문항이 일부 발췌되어 단일요인으로 측정되고 활용되고 있다. 넷째, 도전적 직무경험의 선행변인은 개인적 특성, 상사 특성, 맥락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섯째, 도전적 직무경험의 결과변인은 정서 및 태도 관련 변인, 학습관련 변인, 수행관련 변인, 발전 및 성장 관련 변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전적 직무경험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도전적 직무경험의 통합모형을 제안하였으며 도전적 직무경험의 향후 연구 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yangseol Nanum > Division of Liberal Arts for Humanit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