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인문계고등학생이 경험한 학교규율의 현상학적 본질 탐구Exploring the phenomenological substance of school discipline experienced by high school students

Other Titles
Exploring the phenomenological substance of school discipline experienced by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김은미김민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청소년학회
Keywords
School discipline; School life records; Disciplinary power; Hermeneutics phenomenology; 학교규율; 학교생활기록부; 규율권력; 해석학적 현상학
Citation
청소년학연구, v.26, no.4, pp 323 - 354
Pages
32
Journal Title
청소년학연구
Volume
26
Number
4
Start Page
323
End Page
35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5181
DOI
10.21509/KJYS.2019.04.26.4.323
ISSN
1229-6988
2733-928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경험을 통한 학교규율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Michel Foucault의 『규율권력』을 분석의 틀로 삼아 해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고교 2학년 학생 4명과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고등학생들이 학교규율을 받아들이고 타협해가는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규율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다. 그 결과, <숨겨진 학교규율: 무조건 수용→인내→포기→스스로의 행동통제>, <학교규율이 된 생활기록부: 억울함→방법 없음→순종>, <모래성 쌓기와 같은 생활기록부: 비굴해짐→당연함→유순해짐>이라는 본질적 주제와 함께 학생들이 학교규율과 타협하는 과정들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학교규율의 본질은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활기록부가 학교규율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본 연구는 오늘날 학교생활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내밀한 경험세계를 해명하고 생활기록부의 역할을 질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성별, 학교급 별에 따른 학교규율의 경험현상에 대해서도 분석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Counsel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Min photo

Kim, Min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Counsel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