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經理御史楊先生頌德詩稿』와 허균 <生祠壽曲> 고찰Study on 『Gyeongri eosa yangseonsaeng songdeok sigo(經理御史楊先生頌德詩稿)』 and <Saengsa sugok(生祠壽曲)> by Heo Gyun(許筠)

Other Titles
Study on 『Gyeongri eosa yangseonsaeng songdeok sigo(經理御史楊先生頌德詩稿)』 and <Saengsa sugok(生祠壽曲)> by Heo Gyun(許筠)
Authors
박현규
Issue Date
2018
Publisher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Keywords
許筠; 楊鎬; 壬辰倭亂; 『經理御史楊先生頌德詩稿』; <生祠壽曲>; 詞.; Heogyun(許筠); Yanggao(楊鎬); Japanese invasionofKoreain 1592~1598(壬辰倭亂); Gyeongri eosa yangseonsaeng songdeok sigo(經理御史楊先生頌德詩稿); Saengsa sugok(生祠壽曲); Ci(詞)
Citation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v.56, no.56, pp 111 - 131
Pages
21
Journal Titl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Volume
56
Number
56
Start Page
111
End Page
13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6541
DOI
10.21794/ddhm.2018.56.111
ISSN
1229-4411
2586-4572
Abstract
본 논문은 임진왜란 명 楊鎬의 전공을 송찬한 『經理御史楊先生頌德詩稿』와 허균의 사 작품 <生祠壽谷>을 고찰한 것이다. 명 양호는 經理御史의 직책으로 조선에 들어와서 일본군의 북침을 막아내는 전공을 세웠다. 하나 울산 도산성 전투에서 실패하여 명 丁應泰의 탄핵을 받아 혁직되었다. 1610년(광해군 2)에 후금을 방어하는 遼東巡撫에 올랐다. 1611년(광해군 3)에 지난 자신의 공적을 기린 비석을 보내주기를 요청하자, 조선 조정은 신구 <(양호)거사비>를 인출하고, 또 신하들에게 명하여 양호의 공적을 기린 송찬 시문을 지어 『경리어사양선생송덕시고』를 편찬하여 보내주었다. 오늘날 규장각에 유일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경리어사양선생송덕시고』 가운데 허균이 양호의 송덕을 기린 사 작품인 <生祠壽曲>이 수록되어 있다. <생사수곡>은 허균의 문집인 『성소부부고』에 보이지 않는다. 당시 허균이 殿試 사건으로 전라도 함열에 귀양 갔는데, <생사수곡>을 창작한 직후에 그 공로로 석방되었다. <생사수곡>의 사패는 <蓬萊・尾犯>이고, 195자 21운이다. 이 보첩은 현존 보첩과 달라 허균이 새롭게 변형시켰다. 우리는 이것을 통해 허균이 사에 대해 조예가 매우 깊음을 알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Hyun Kyu photo

Park, Hyun Kyu
SCH Media Labs (Deparment of Chinese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