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안 보고스트의 설득적 게임 방법론 연구A Study on Persuasive Games by Ian Bogost

Other Titles
A Study on Persuasive Games by Ian Bogost
Authors
이정엽
Issue Date
2017
Publisher
대중서사학회
Keywords
video games; rhetoric; procedural rhetoric; rhetoric of failure; persuasion; Ian Bogost; serious games; 비디오 게임; 수사학; 절차적 수사학; 실패의 수사학; 설득; 이안 보고스트; 기능성 게임
Citation
대중서사연구, v.23, no.3, pp.489 - 520
Journal Title
대중서사연구
Volume
23
Number
3
Start Page
489
End Page
52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8143
DOI
10.18856/jpn.2017.23.3.014
ISSN
1738-3188
Abstract
이 논문은 게임학자 이안 보고스트의 저서 <설득적 게임: 비디오 게임의 표현적인 힘(Persuasive Games: The Expressive Power of Video Games)>에 나타난 수사학적 방법론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매체적 수사학의 가능성과 문학 연구의 연계성을 검토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사학은 언어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에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바탕으로 의미를 생성해낸다. 보고스트는 ‘게임이 수사학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게이머를 설득할 수 있는 매체’라고 주장한다. 이 때 수사학은 비디오 게임과 여타의 기존 예술과의 연관성을 확충할 수 있는 전략으로 기능하게 된다. 회화나 조각 같은 예술이 시각적 수사학(visual rhetoric)을 통해 설득을 시도한다면, 비디오 게임은 절차적 수사학(procedural rhetoric)을 플레이어를 설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디오 게임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 전체를 공간적으로 구조화하여 플레이어가 이를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개발자가 의도한 메시지를 절차에 따라 읽어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비디오 게임이 단지 오락 매체가 아니라 현실과의 긴장, 혹은 접촉의 단면을 새롭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표현 기법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설득적 게임이 적용되는 정치적 게임, 광고 게임, 교육용 게임의 다양한 예시를 살펴본다. 아울러 이러한 예시를 통해 비디오 게임에서 수사학이 적용되는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매체 상황에서 수사학이 가지는 함의를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 Media Labs > Department of Korean Culture Conten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ung Yeop photo

Lee, Jung Yeop
SCH Media Labs (Department of Korean Culture Conten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