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돼지설사병 방제용 CTB::fasG 형질전환 벼 및 캘러스의 도입유전자 발현Expression of CTB::fasG Gene against Piglet Bacterial Diarrhea Disease in Transgenic Rice and Its Callus

Other Titles
Expression of CTB::fasG Gene against Piglet Bacterial Diarrhea Disease in Transgenic Rice and Its Callus
Authors
이주영김세영황철호김용호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육종학회
Keywords
Rice; Transgene; CTB; 987P-fasG; Plant-derived edible vaccine
Citation
한국육종학회지, v.48, no.4, pp.435 - 441
Journal Title
한국육종학회지
Volume
48
Number
4
Start Page
435
End Page
44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9548
DOI
10.9787/KJBS.2016.48.4.435
ISSN
0250-3360
Abstract
돼지설사병 방제용 식물경구백신을 개발하고자 점막면역보조제인 Cholera toxin subunit B (CTB) 유전자와 설사병을유발시키는 대장균 987P-fasG 유전자를 연결시킨 CTB::fasG DNA 카세트로 벼를 형질전환시켰다. 벼에 삽입된 도입유전자의 copy수를 T₁및 T₂세대의 종자를 대상으로 TaqMan probe법으로 분석한 결과 1 개부터 8 개까지의 유전자가 복수로 도입된것으로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 T₁및 T₂세대에서의 mRNA의발현량은 Quantitative real time-PCR로 분석한 결과 기준치에비해 최대 35배까지 나타났다. 또한 형질전환체를 조직배양하여생성된 callus를 장시간 계대배양시키며 저장기간 별로 도입유전자를 확인한 결과 계대배양 9개월까지 도입유전자가 유지됨을확인할 수 있었다. Callus에서의 mRNA의 발현량 역시 기준치의2.6배 정도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도입유전자를형질전환체 뿐만 아니라 callus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본 연구 결과는 식물유래 경구백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al Sciences > Department of Medical Biotechn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ng Ho photo

Kim, Yong Ho
College of Medical Sciences (Department of Medical Biotechn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