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업재무 데이터특성을 고려한 자본구조조정속도 추정에 관한 연구The Speed of Adjustment toward Target Leverage in Korean Firms: Based on New Models

Other Titles
The Speed of Adjustment toward Target Leverage in Korean Firms: Based on New Models
Authors
윤보현이정환하준손삼호
Issue Date
2016
Publisher
산업경영연구소
Keywords
Capital Structure; Speed of Adjustment toward Target Leverage; Dynamic Panel Model; Corporate Finance Data Structure; 자본구조; 자본구조조정속도; 동적패널모형; 기업재무; 데이터구조; 편의
Citation
지역산업연구, v.39, no.2, pp 55 - 84
Pages
30
Journal Title
지역산업연구
Volume
39
Number
2
Start Page
55
End Page
8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9808
ISSN
2093-9027
2950-9351
Abstract
자본구조조정속도의 추정은 기업의 자본구조변화를 설명하는 절충이론의 타당성을 검정하는주요 방법론이다. 그런데 자본구조조정속도 추정 과정에서 기업 자료의 특수성, 즉 패널 구조의불균형, 종속 변수들의 절단, 횡단면 데이터의 수량부족 등의 문제들은 추정치에 편의를 발생시킨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편의 문제를 잘 극복한 것으로 평가받은Bruno(2005) 모형 및 Elsas & Florysiak(2014) 모형을 사용하여 자본구조조정속도를 추정함으로서 절충이론이 한국기업 자본구조 변화에 가지는 설명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두 모형 모두 목표 시장레버리지에 대한 자본구조 조정속도를 약 2.5년으로 추정하여 절충이론에 부합하는 결과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목표 장부레버리지에 대해서Bruno(2005) 모형은 약 4.3년, Elsas & Florysiak(2014) 모형은 4.9년의 조정속도를 보여 절충이론에 잘 부합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시장 및 장부레버리지에 대한 상반된 결과들은, 기존의 조정속도에 대한 대표적인 추정방법인 최소자승법, Fama & MacBeth(1973) 모형, Arellano & Bond(1991) 모형 등의 결과와는 차별적인 것으로서, 절충이론의 한국기업 자본구조변화에 대한 설명력 및 예측력 개선과 관련하여 큰 의미를 갖는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Global Business > Department of Economics and Fina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 Sam Ho photo

Son, Sam Ho
College of Global Business (Department of Economics and Fina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