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수혈민감반응 중 실제 수혈이상반응의 보고 비율과 각 혈액제제에 따른 수혈이상반응 분석Actual Incidence of Transfusion-Related Adverse Reactions Compared with Transfusion-Related Signs or Symptoms and by Each Blood Product

Other Titles
Actual Incidence of Transfusion-Related Adverse Reactions Compared with Transfusion-Related Signs or Symptoms and by Each Blood Product
Authors
류근영임채승고영은윤정정보경김지용장미애
Issue Date
2016
Publisher
대한수혈학회
Keywords
Transfusion; Transfusion-related adverse reaction; Reporting system
Citation
대한수혈학회지, v.27, no.1, pp 12 - 21
Pages
10
Journal Title
대한수혈학회지
Volume
27
Number
1
Start Page
12
End Page
2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9824
DOI
10.17945/kjbt.2016.27.1.
ISSN
1226-9336
2383-6881
Abstract
배경: 수혈이상반응(transfusion-related adverse reaction)은 수혈 중이나 후에 환자의 이상 징후혹은 증상에 의하여 인지된다. 수혈관련 징후 및 증상으로 보고된 예 중 실제 수혈이상반응으로진단된 예를 분석하여 실제 수혈이상반응의 빈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본원의 수혈이상반응 보고체계를 점검하였다. 방법: 2015년 1월부터 6월까지 시행된 수혈건수는 총 4,234건이며 사용된 혈액제제의 총 단위는 18,191단위였다. 의료진은 환자가 수혈 받는동안 수혈 5분 후, 수혈 중, 수혈 종료 시로 나눠최소 3차례에 걸쳐 수혈관련 징후 및 증상을 호소하는지 감시하여 전산으로 혈액은행에 보고하였다. 진단검사의학과 담당전문의가 보고된 예를전산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고, 수혈이상반응의교과서 진단기준에 합당한지 검토하여, 실제 수혈이상반응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혈액제제별 수혈관련 징후 및 증상 및 수혈이상반응의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혈관련 징후 및 증상으로 1,091건이 보고되었으나 수혈이상반응의 확진은 226건인 20.17% 였다. 이중 발열성비용혈수혈반응은 0.91%로 가장 높았고, 알레르기반응은 총 0.32%로 두 번째로 높게 확인되었다. 혈액제제별 수혈이상반응발생률은 백혈구여과제거적혈구가 3.41%, 백혈구여과제거혈소판이 2.59%로 가장 높았다. 발열성비용혈수혈반응은 적혈구 제제에서 많이 관찰되었고, 알레르기반응은 혈소판 제제에서 많이관찰되었다. 결론: 실제 수혈이상반응의 빈도는 보고되는수혈관련 징후 및 증상의 20%정도 밖에 되지 않으므로 수혈관련 교육 및 점검이 요구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