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부심장기관지: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에서의 영상의학적 분류 제안Accessory Cardiac Bronchus: Proposed Imaging Classification on Multidetector CT

Other Titles
Accessory Cardiac Bronchus: Proposed Imaging Classification on Multidetector CT
Authors
김강민김영통한종규조성식
Issue Date
2016
Publisher
대한영상의학회
Keywords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Bronchi; Classification
Citation
대한영상의학회지, v.74, no.2, pp 82 - 90
Pages
9
Journal Title
대한영상의학회지
Volume
74
Number
2
Start Page
82
End Page
9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ch/handle/2021.sw.sch/9876
DOI
10.3348/jksr.2016.74.2.82
ISSN
1738-2637
2288-2928
Abstract
목적: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부심장기관지의 영상의학적 형태 분류를 제안하고, 부심장기관지의 추적관찰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이 연구는 9년간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부심장기관지로 진단된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심장기관지의 형태 분류 및 분지기시부의 위치와 방향을 분석하고 추적관찰에서의 변화도 알아보았다. 결과: 부심장기관지의 주요형태는 맹단형이 51.7%, 엽상형이 48.3%였다. 맹단형은 둔형(70%), 첨형(23.3%), 낭형(6.7%)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엽상형은 완전형(46.4%), 불완전형(28.6%), 흔적형(25%)으로 세분화되었다. 전체 환자에서 분지위치는 상부 1/2 중간기관지가 79.3%, 분지방향은 내측이 60.3%로 가장 많았다. 맹단형과 엽상형 사이에 분지방향은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p = 0.019). 기관지 주변 연부조직은 5예에서 보였다. 석회화는 엽상형의 1예에서 보였다. 추적관찰에서 부심장기관지는 맹단형의 2예, 흔적형의 1예에서 소실되었다. 결론: 부심장기관지의 제안된 영상의학적 분류와 추적관찰 CT는 부심장기관지의 다양한 영상 소견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Rad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ung Tong photo

Kim, Young Tong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Radi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