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劉禹錫詩文初期受容樣相考 -『劉白唱和集』의 수용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acceptance of Liu Yuxi(劉禹錫)'s poetry and prose in the early stage -Centering on the acceptance of Liu·Bai's collection of poems(劉白唱和集)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Liu Yuxi(劉禹錫)'s poetry and prose in the early stage -Centering on the acceptance of Liu·Bai's collection of poems(劉白唱和集)
Authors
정선모[정선모]
Issue Date
2019
Publisher
우리한문학회
Keywords
유우석; 백거이; -『劉白唱和集』; -『十抄詩』; -『日本國見在書目錄』; Liu Yuxi劉禹錫; Bai Juyi白居易; Liu·Bai' s collection of poems劉白唱和集; Ten copied poems十抄詩; Catalogue of the book of seeing in Japan日本國見在書目錄
Citation
漢文學報, v.41, no.0, pp.89 - 116
Indexed
KCI
Journal Title
漢文學報
Volume
41
Number
0
Start Page
89
End Page
11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1925
ISSN
1229-4136
Abstract
본고에서는 한국 고전문학에 많은 영향을 미친 劉禹錫 시문의 초기 수용 양상에 대해서 검토했다. 특히 白居易 시문이 그의 생전에 신라 문단에 전해지면서 애독자까지 등장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유우석과 백거이가 주고받은 창화시집 -『劉白唱和集』의 수용에 주목했다. 그리고 고려 초기에 편찬된 『十抄詩』 수록 유우석의 시 10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수록 작품이 모두 寶曆 원년(825) 봄부터 大和 3년(829) 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백거이와 관련된 唱和시였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십초시』 수록 유우석 시는 모두 처음 편찬된 2권본 -『유백창화집』 수록 138수에서 선별된 것으로 추정했다. 그리고 일본의 藤原佐世(847~898)가 작성한 -『日本國見在書目錄』 및 藤原通憲(1105~1159)이 편찬한 -『通憲入道藏書目錄』에 유우석 관련 시문집으로 ‘劉白唱和集二卷’만이 저록된 사실을 통해 이러한 추정을 방증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한국 문단에서의 유우석 시문의 초기 수용은 곧 -『유백창화집』에서 비롯되었으며, 북송 중기 이후 새롭게 정리 출판된 유우석의 시문집이 고려 문단에 수입되면서 그 수용 양상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고 보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