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지각된 불공정성과 자살위험의 관계에서 우울을 통한 긍정적 대인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성별 분석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justice and Suicide Risk through Depression: Gender Analyses

Other Titles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justice and Suicide Risk through Depression: Gender Analyses
Authors
양은정[양은정]노해림[노해림]박재현[박재현]전홍진[전홍진]심은정[심은정]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상담심리학회
Keywords
지각된 불공정성; 자살위험; 우울; 긍정적 대인관계; perceived injustice; suicidal risk;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31, no.2, pp.477 - 501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ume
31
Number
2
Start Page
477
End Page
50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176
ISSN
1229-0688
Abstract
본 연구는 지각된 불공정성이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위험으로 이어지는 관계가 긍정적 대인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지와 이 관계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1,3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변인은 KGSS 공정성 문항, MINI(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의 자살성 모듈, 우울증 선별척도(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긍정적 대인관계 하위 척도로 평가하였다. PROCESS macro로 검증한 결과, 첫째, 남성의 경우 우울이 지각된 불공정성과 자살위험의 관계를 완전 매개한 반면 여성의 경우 부분 매개하였다. 둘째, 남성의 경우 지각된 불공정성과 우울, 그리고 우울과 자살위험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 대인관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 여성에서는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지각된 불공정성과 자살위험의 관계에서 우울을 통한 긍정적 대인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여성에서만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각된 불공정성을 우울 및 자살위험 개입에서 고려해야 하며, 긍정적 대인관계를 증진하는 개입이 지각된 불공정성이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Department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AE HYUN photo

PARK, JAE HYUN
Medicine (Medicin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