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연구데이터 서비스의 유용성 평가 모형 연구A Study on Evaluation Model for Usability of Research Data Service

Other Titles
A Study on Evaluation Model for Usability of Research Data Service
Authors
박진호[박진호]고영만[고영만]김현수[김현수]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정보관리학회
Keywords
research data; data quality; usability evaluation; rating scale; measuring indicator; 연구데이터; 데이터 품질; 사용성 평가; 평가척도; 측정지표
Citation
정보관리학회지, v.36, no.4, pp.129 - 159
Indexed
KCI
Journal Title
정보관리학회지
Volume
36
Number
4
Start Page
129
End Page
15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422
ISSN
1013-079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데이터 서비스 자체의 유용성과 연구데이터에 대한 사용경험 기반의 유용성 측면에서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사례에서 도출한 데이터 서비스의 유용성 평가 요소로부터 연구데이터에 내재된 평가척도인 검색성, 접근성, 상호운용성, 재활용성 4개와 각각의 측정지표 총 20개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Google Analytics, YouTube 광고료 책정 기준, 서울특별시, Altmetrics의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데이터에 대한 이용자 경험 기반의 유용성 측정지표 12개를 도출하였다. 평가척도와 측정지표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 검정을 위해 연구데이터의 잠재적 이용자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척도의 타당성 검정을 위해 KMO Bartlett 분석을 하였으며, 측정지표의 성분분석을 위해 주성분 분석과 베리맥스 회전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내재적 평가척도의 경우 4개 척도 모두 KMO Bartlett의 타당성 값을 충족시켰으며, 평가척도에 대한 측정지표의 성분분석 결과 모두 단일 성분으로 나타나 현재의 척도로 해당 지표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용자 경험 기반의 12개 측정지표의 성분분석 결과는 2개 성분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각각을 활용도와 참여도라는 개념의 2개 평가척도로 구분하였다. Cronbach’s alpha 계수에 의한 신뢰도 측정 결과 6개의 평가척도 모두 0.6 이상의 측정치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 YOUNG MAN photo

KO, YOUNG MAN
Liberal Art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