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아시아 안보질서 2030: 패러다임 변화와 한국의 과제New Asian Security Order of 2030: Paradigm Shift and Challenges for Korea

Other Titles
New Asian Security Order of 2030: Paradigm Shift and Challenges for Korea
Authors
김태효[김태효]
Issue Date
2019
Publisher
신아시아연구소
Keywords
International order 2030; New U.S.-China Cold War system; Realism; Liberalism; Sunshine Policy 3.0; Populism (Popularism); 국제질서 2030; 미·중 신냉전체제; 현실주의; 자유주의; 햇별정책 3.0; 대중영합주의
Citation
신아세아, v.26, no.3, pp.58 - 70
Indexed
KCI
Journal Title
신아세아
Volume
26
Number
3
Start Page
58
End Page
7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485
ISSN
1226-0096
Abstract
「국제질서 2030」의 특징은 부와 지식의 양극화, 경제의 안보무기화, 대중영합주의 리더십의 확산으로 요약된다. 미국과 중국이 벌이는 신냉전체제는 이러한 세 가지 현상을 부채질한다. 국제협력과 평화가 자유주의 제도와 민주주의 가치를 통해 구축된다고 보는 자유주의는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 현실주의는 전쟁불가피론에서 벗어나 물리적 폭력을 동반하지 않는 강대국 간 복합적 권력게임에 주목해야 한다. 문재인 정부의 햇별정책 버전 3.0은 자주와 민족공조 가치에 방점을 둔다. 핵보유국 지위를 완성하려는 북한에 우선 경제지원하자는 입장은 안보를 중시하는 현실주의와도, 상호주의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와도 배치된다. 친북, 반일 민족주의에 종속된 한일관계와 한미관계는 상호신뢰와 정책공조의 측면에서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한국이 겪고 있는 경제적 어려움과 외교적 불협화음은 외부 환경보다는 전략과 정책의 표류에서 비롯된 결과다. 한국의 대중영합주의는 미국, 유럽, 남미, 중동의 그것에 비해 국가의 정체성과 국가이익에 관한 첨예한 논란과 분열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특이하고 예외적이다. 한국의 유권자들이 현재의 정권을 선택한 국내정치적 이유와, 그렇게 하여 탄생한 정권이 펴는 대외정책 내용은 서로 무관하며 배치되기까지 한다. 이러한 현실을 방치하는 것도 극복하는 것도 결국 국민의 몫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TAE HYO photo

KIM, TAE HYO
Social Sciences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