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상해판 『독립신문』의 미디어 전략과 시가(詩歌)의 배치Media Strategy and Poetry Arrangement in Shanghai Version of “Tongnip Sinmun”

Other Titles
Media Strategy and Poetry Arrangement in Shanghai Version of “Tongnip Sinmun”
Authors
정우택[정우택]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시학회
Keywords
임시정부; 독립신문; 상해; 이광수; 주요한; 김여제; 미디어; 3.1운동;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hanghai Version of " Tongnip Sinmun" ; The Independent Newspaper; Shanghai; Lee Gwangsu; Ju Yo-Han; Kim Yea-Jeh; Media; March 1st Movement
Citation
한국시학연구, no.59, pp.185 - 222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시학연구
Number
59
Start Page
185
End Page
22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580
DOI
10.15705/kopoet..59.201908.007
ISSN
1229-1943
Abstract
정부와 국가의 시스템과 인프라를 온전히 갖추고 있지 못했던 망명정부의 특성상, 상해 『독립신문』이라는 미디어가 또 하나의 정부 역할을 했다. 『독립신문』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코리안 네트워크의 센터이자 미디어이고자 했다. 한국문학 개척자들인 이광수, 주요한, 김여제가 상해 『독립신문』의 기획, 집필, 편집, 발행의 핵심 주체였다. 이들은 상해 오기 전부터 여러 잡지 편찬 경험을 가지고 있는 미디어 전문가들이었다. 이들은 독립운동이 미디어와 표상 전쟁임을 역설했다. 이들은 기자이며 정부 요인이자 정론가이고 이데올로그였으며 미디어 편집자이고 시인이었다. 이들이 생산하여 『독립신문』에 발표한 시는 이런 다중 주체적 특성과 배치, 편집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들 텍스트에 접근할 때, 독자적이고 자율적인 시이자 시인으로서 정체성을 규정하고 이로써 텍스트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은 텍스트성을 충분하게 이해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독립신문』 소재 시가들은 그 게재지의 특집, 기념, 사건, 뉴스, 정론, 사진, 포고문, 부고, 애도 등과 연동 속에서 쓰여지고 배치되고 수행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G, WOO TAEK photo

JEONG, WOO TAEK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