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부정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이 고위험 여자대학생의 신경성 폭식 증상에 미치는 영향Additive and Interactive Contributions of Negative Affect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Predicting Bulimic Symptoms among High-Risk Female College Students

Other Titles
Additive and Interactive Contributions of Negative Affect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Predicting Bulimic Symptoms among High-Risk Female College Students
Authors
이수진[이수진]장혜인[장혜인]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임상심리학회
Keywords
negative affect; emotion regulation; emotion dysregulation; bulimia nervosa; 부정정서; 정서조절; 정서조절곤란; 신경성 폭식증
Cita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38, no.1, pp.13 - 28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ume
38
Number
1
Start Page
13
End Page
2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629
DOI
10.15842/kjcp.2019.38.1.002
Abstract
부정정서와 정서조절은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두 정서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증상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소수에 불과했다.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 여자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부정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이 신경성 폭식증 증상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영향이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신경성 폭식증 고위험 여대생 109명을 선별하였으며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부정정서, 정서조절곤란, 신경성 폭식증 증상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신경성 폭식증 증상에 대해 부정정서와 정서조절곤란 총점의 주효과가 모두 유의하였으며, 이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차원을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충동통제곤란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들은 신경성 폭식증 증상에 대한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정서에 대한 주의와 자각의 부족 하위요인 및 정서의 명료성 부족 하위요인은 부정정서와 상호작용하여 신경성 폭식증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서를 자각하고 명료히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부정정서가 신경성 폭식증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이러한 능력이 뛰어난 경우 높은 수준의 부정정서가 증상의 증가로 이어지지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임상적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NG, HYE IN photo

CHANG, HYE IN
Social Sciences (Psych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