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시재생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주민참여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Pla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ing on the Determinant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Community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Pla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ing on the Determinant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Community
Authors
이경영[이경영]
Issue Date
2019
Keywords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Sense of Belonging to Community; Citizen Participati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Gyeonggi Province; 주거환경만족도; 지역사회 소속감; 주민참여; 도시재생사업; 경기도
Citation
지방행정연구, v.33, no.3, pp.209 - 232
Indexed
KCI
Journal Title
지방행정연구
Volume
33
Number
3
Start Page
209
End Page
2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741
DOI
10.22783/krila.2019.33.3.209
ISSN
1225-6587
Abstract
오늘날 주요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에서는 ‘지역공동체 회복’과 같은 도시의 질적인 발전을 중시한다. 이와 관련해, 주민참여는 도시의 질적인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자 궁극적인 목표 중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를 사례지역으로 하여 지역사회 주민참여에 대한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주거환경만족도, 지역사회 소속감, 주민참여의 변수 간 관계를 포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관련 변수들을 선정하고, 경로관계를 설정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거환경만족도는 주민참여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주거환경만족도의 하위 요소 중 사회적 환경에 해당하는 이웃 관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지역사회 소속감은 주거환경만족도와 주민참여 간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물리적 환경과 주민참여 간에 지역사회 소속감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주민참여 증대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파악하였으며, 이는 오늘날 도시재생사업의 운영 및 추진과 관련해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