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단원 김홍도의 실경(實境)미학연구-〈금강산도〉를 중심으로A Study on Danwon Kim Hongdo’s Aesthetics of Real Landscape- Focused on <Geumgangsando>

Other Titles
A Study on Danwon Kim Hongdo’s Aesthetics of Real Landscape- Focused on <Geumgangsando>
Authors
조동원[조동원]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동양예술학회
Keywords
Kim Hongdo; Landscape Painting; Landscape Aesthetics; Real Scenery Aesthetics; empirical tradition; Geumgangsando; Real Scenery; Genuine Scenery.; 김홍도; 산수화; 산수미학; 실경미학; 실사구시; 금강산도; 실경; 진경
Citation
동양예술, no.44, pp.253 - 290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양예술
Number
44
Start Page
253
End Page
29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778
ISSN
1975-0927
Abstract
조선 후기는 다양한 사상과 문화가 조화를 이루며 우리 땅에 대한 각성이 이루어졌고, 이러한 시대정신은 예술적 자각을 거쳐 실사구시의 심미의식으로 표출되었다. 단원 김홍도(1745-1806)는 문사의식을 표출하는 詩意圖와 당대의 삶을 표현한 풍속화에서 최고의 역량을 발휘했지만 그의 審美意識은 산수화에서 가장 빛나고 있다. 그는 實在하는 實景을 사실적으로 표현한〈금강산도〉에서 실학적 심미의식을 형상화했다. 그동안 단원회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부단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산수화로 뛰어난 업적을 남긴 그의 회화 중에서 實景을 사실적으로 표현한〈금강산도〉의 실경을 미학으로 연구한 경우는 미미하다. 이에 본고는 사실적 재현이 창출되고 있는 단원의〈금강산도〉를 통해 實境美學에 대한 논의로 이어가고자 한다. 작가의 철학과 심미의식을 표현하는 그림이란 보이는 형상보다 형상 안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가 더욱 중요하기에, 본고는 단원의〈금강산도〉를 통해 그의 산수미학을 탐구하고자 한다. 실학적 심미의식으로 창출된 단원의〈금강산도〉에는 實存을 중시하는 실학과 유불도의 산수미학이 내재되어있다. 단원은 임천지심(林泉之心), 요산요수(樂山樂水)의 즐거움과 와이유지(臥以遊之), 소요유(逍遙遊)의 자유로움을〈금강산도〉에 반영하였고, 승경낙도(勝景樂道)와 기행사경(紀行寫景)의 시대흐름을 흉중구학(胸中丘壑)의〈금강산도〉로 형상화했다. 실재하는 금수강산의 아름다움을 사실적으로 구현한 단원의〈금강산도〉는 유불도의 전통적 산수미학과 실사구시의 아름다움이 조화를 이루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實境山水圖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nfucian Studies & Eastern Philosophy > Confucian Studies & Eastern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